경기침체·환율불안·전기료 인상
도내 중소기업계가 경기침체와 환율 불안에 이어 전기료까지 크게 오르면서 심각한 ‘3중고’를 겪을 것으로 우려된다.
10일 지식경제부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오는 14일부터 산업용 전기료가 4.4% 오른다. 산업용의 경우, 2011년 7월부터 올해까지 네차례 이상 오르면서 누적인상률이 20.1%에 육박한다.
특히 도내의 경우 높은 산업 집약도에 따라 산업용 전력사용량(에너지관리공단/2010년 기준)이 4만4천467GWh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19.9%를 차지한다. 이는 서울(2천350GWh)의 약 19배에 달한다.
이번 조치로 도내 산업계는 수익성과 생산성에 직격탄을 맞게 됐다.
광주시에서 전기온돌 제품을 생산하는 A사 임모 사장(48)은 “경기침체와 전기료 인상이 겹치면서 전기온돌 제품 매출이 20% 이상 빠져 인력 감축까지 고려하고 있다”며 “판매 원가가 7~8만원 선인데 전기료가 오르면서 수익성이 15% 이상 악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파주시에서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B사 김모 사장(50)은 “환율 하락에 이어 매출원가에 5% 이상을 차지하는 전기료 인상으로 마진의 10% 이상이 사라진 것과 같다”며 “수출은 물론 내수시장에서도 상승률을 원가에 포함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인데 시설 투자와 인력 등의 부문을 포기할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송희남 경기중소기업연합회 사무총장은 “기업의 생산성과 직결되는 민감한 사안이다. 중소기업계는 물론 지역경제에도 피해가 심각하다”며 “회원사들 의견과 예상되는 피해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를 통해 대응책을 마련해 나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