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구름많음동두천 31.2℃
  • 구름많음강릉 30.1℃
  • 구름많음서울 33.4℃
  • 구름조금대전 33.1℃
  • 구름조금대구 31.8℃
  • 구름조금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1.5℃
  • 맑음부산 31.8℃
  • 맑음고창 33.2℃
  • 구름많음제주 30.4℃
  • 구름많음강화 30.5℃
  • 맑음보은 30.3℃
  • 맑음금산 31.1℃
  • 맑음강진군 31.7℃
  • 구름조금경주시 32.5℃
  • 맑음거제 29.8℃
기상청 제공

학생 학년 낮을수록 “행복해요” 교사 직위 높을수록

도교육청 ‘학교 행복지수’ 조사… 학생 평균 74.3점

경기도 학생들이 학교에서 느끼는 행복감은 100점 만점에 평균 74.3점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교육청이 22일 전국 최초로 학생·교사·학부모 대상으로 조사한 ‘학교 행복지수’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의 행복지수는 초등학생 79.8점, 중학교 69.8점, 고교생 70.8점 등 평균 74.3점으로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초교 4학년이 83.2점으로 가장 높았고 초교 5학년이 79.7점, 중학교 1학년 71.1점, 중학교 3학년 69.6점, 고교 2학년 70.2점 등이었다.

중학교 2학년의 행복지수가 68.7점으로 가장 낮았으나 대체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행복지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학습환경에 대해 느끼는 행복지수가 고교생 64.6점 등 평균 69.8점으로 각 분야 가운데 가장 낮았다.

교원들의 행복지수는 평균 79.3점으로 나타난 가운데 역시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낮아졌다.

직위별로는 교장이 91.8점, 교감 91.3점, 보직교사 82.9점, 교사 77.8점으로 나타나 직위가 낮을수록, 경력이 짧을수록 행복지수도 낮았다.

교사들도 수업환경에 대한 행복지수가 67.3점으로 각 항목 중에 가장 낮았다.

학부모들의 평균 행복지수는 76.0점이었다.

행복지수는 여성에 비해 남성이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높았다.

또 혁신학교의 행복지수가 일반학교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20일부터 12월20일까지 초교 4학년부터 고교 3학년까지 학생 42만1천여명, 교원 5만2천여명, 학부모 11만8천여명을 대상으로 모두 20개 문항에 걸쳐 모바일 앱을 통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김기철 도교육청 학교혁신과장은 “행복지수가 낮은 학습환경 및 수업환경 부분, 직위가 낮을수록 떨어지는 교사들의 행복감, 학년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학생들의 행복감 등을 개선하기 위한 맞춤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