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씨감자 품귀현상으로 매년 봄감자 파종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도내 감자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지만(본보 2월 15일 1면 보도) 경기도가 씨감자 생산시설 건립 정부예산 사업에 참여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감자농가만 피해를 보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비난이 커지고 있다.
17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2000년부터 강원도감자종자진흥원이 바이러스로부터 안전한 보급종 씨감자 생산을 도맡은데 이어 정부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전국 5곳에 보급종 씨감자 생산시설 건립을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정부(20억원)와 지자체(20억원) 간 대응투자 형식으로 2010년과 2012년, 전남 보성군과 해남군에 연간 800t의 씨감자 생산시설 건립에 이어 올해는 공모를 통해 충남농업기술원과 경북 김천시, 전북 남원시 등 3곳을 추가로 선정해 씨감자 생산시설 건립을 지원하기로 했다.
그러나 도는 전국 봄감자 생산량의 9.8%를 차지해 충남(16.7%)과 경북(16.2%), 전남·강원(12.2%)에 이어 다섯번째 규모지만 지난달 농식품부의 ‘씨감자생산기반구축 공모 사업’에 응모조차 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정부 지원사업에 선정된 전북은 봄감자 생산비중이 도보다도 낮지만 도의 미응모로 경남을 제치고 충남, 경북과 함께 정부지원금 20억원을 확보하게 됐다.
도가 씨감자 생산·보급에 손을 놓고 있는 사이 도내 감자농가는 감자 수확철에 생산량이 많은 보급종 씨감자를 구하기 위해 타 지역을 전전하거나,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은 민간 생산 씨감자를 비싸게 구입해 사용하는 실정이다.
농민 양모(57·수원 금곡동)씨는 “20㎏에 2만원이면 살 수 있는 보급종 씨감자는 구하기도 어렵고 저장시설도 없어 파종시기만 되면 전국을 돌며 배가 넘게 돈을 주고 구하는 실정”이라며 “감자 생산량이 적은 지방도 정부 지원을 받아 씨감자를 생산하는데 경기도는 뭐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씨감자 부족현상을 파악하고 있지만 미처 정부의 공모에 응하지 못했다”면서 “올해부터 정부의 씨감자 생산시설 건립 지원을 적극 요청하겠다”고 해명했다.
한편 농식품부는 강원도와 전남, 충남 등 6곳의 씨감자 생산시설 운영·건립 확정에 이어 2017년까지 생산시설을 10개소로 확대해 전체 씨감자 공급량의 절반수준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