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수산자원 육성을 위해 오는 2016년까지 550억원을 투입한다.
도는 기후변화로 약화된 연안생태계를 되살리고, FTA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수산자원 관리 시행계획’을 수립, 2016년까지 9개 분야에 550억원을 들여 수산자원 생산환경을 조성한다고 5일 밝혔다.
우선 올해 115억원을 들여 어업생산량 2만t을 목표로 수산자원 조성을 통한 어업인 소득증대, 해양생태계보전 및 환경개선, 자원관리를 위한 기반조성 등을 중점 추진한다.
이를 위해 연안어장에 139㏊ 규모의 인공어초(물고기집)를 만들어 수산생물의 산란 및 서식환경 조성한다. 또 자원생태계 회복 및 지속적 생산기반 구축을 위해 조피볼락, 황복 등 16종의 어린물고기 1천752만3천미를 방류하고 127t의 바지락 치패를 살포해 어족자원을 증강시킨다.
고유 토산어종 보호를 위해 배스, 블루길 등 외래어종 82t과 무용생물 40t 등 122t을 수매·처리하고, 포천시 수입천에 어도를 설치해 강·하천의 생태계 회복 및 자원증식에 나선다.
1천67㏊에 달하는 바다속 어장환경 회복을 위해선 해양폐기물 67t, 해안가 쓰레기 1천146t, 불가사리 142t을 수매·처리하고, 침적된 폐어망도 인양·처리한다.
이와 함께 임진강, 북한강 등에 인공산란장 37개소를 설치하고, 고양시 등 4개 시·군 480㏊의 내수면에 홍수 등으로 유실돼 침적된 폐어구와 각종 쓰레기도 거둬들인다.
도 관계자는 “어업인이 주인의식을 갖고 자율적으로 어업자원을 조성·관리할 수 있도록 3곳의 어업생산 공동체를 발굴하고, 자율관리공동체 10곳에는 어촌체험 관광시설, 어장관리선, 공동판매시설 등을 지원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