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한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신개념 기업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도는 비정규직을 줄인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경기도 민간부문 좋은 일자리 늘리기사업 추진계획’을 발표, 올 상반기부터 적극 시행할 방침이라고 14일 밝혔다.
도가 마련한 신개념 기업지원 방안은 ▲기업평가와 공공조달 계약시 비정규직 평가항목 확대 ▲비정규직 고용개선 모니터링제도 도입 ▲비정규직 근로자 대상 교육훈련 지원 등 3가지다.
도는 우선 일자리창출 우수기업 인증 시 비정규직 근로자 고용개선 평가항목 점수를 현행 100점 만점에 4점에서 25점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 공공조달 계약 시 비정규직 고용개선 우수기업에 주는 가산점(현 2점) 제도를 확대하고 행정기관에서 발주하는 사업 입찰에 비정규직 고용형태에 따라 자격을 제한하거나 배정을 확대하는 등의 제도개선을 추진한다.
기업별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비율을 공개하는 비정규직 고용개선 모니터링제도를 도입, 고용노동부가 내년부터 시행할 ‘고용형태 현황 공시제’와 연계해 참가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비정규직 근로자의 능력 향상을 위해 비정규직 대상 맞춤형 직업능력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키로 했다.
김태정 도 일자리정책과장은 “비정규직 지원대책이 실효를 거둘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우선 추진할 방침”이라며 “새 정부의 비정규직 대책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도내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안정과 차별 해소에 적극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말 기준 도내 비정규직 근로자는 전체 임금근로자의 32%인 143만명으로 지난해보다 1천명 감소했다. 정규직은 303만6천여명으로 2만3천명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