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경기도지사가 15일 최근 과도한 업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회복지 공무원의 근무여건 개선을 약속했다.
김 지사는 이날 경기도 사회복지행정연구회 회장 등 시·군 대표 공무원 15명과 도청 공무원 7명을 도지사 공관으로 초청, 오찬 간담회를 갖고 올해 초 잇따라 발생한 사회복지 공무원의 자살 등에 따른 애로사항을 듣고 격려했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사회복지직 공무원은 우리나라 복지를 책임지는 중요한 일을 맡고 있는 만큼 자부심을 갖고 일해 주길 바란다”며 “오늘 건의한 사회복지공무원 연찬회 실시, 유공자에 대한 연수 및 표창 확대, 여성 공무원의 출산 휴가 및 육아 휴직자의 대체인력 확보, 복지전달체계 개선 등에 대해 즉시 시행할 수 있도록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사회복지 공무원들은 ▲사회복지공무원들의 인력 확충과 육아휴직 결원 등에 대한 대체인력의 신속한 보충 ▲맞춤형 통합복지체계 구축을 위한 도, 시·군 합동 태스크포스(TF)팀 구성·운영 ▲감사부서의 사회복지직 공무원 배치로 시·군 감사시 전문성 제고 등을 건의했다.
또한 ▲도인재개발원에 사회복지분야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설 ▲사기진작 및 자기계발을 위한 힐링 워크숍 개최 ▲복지사업 추진 유공 공무원에 대한 표창 확대 및 해외연수 등도 요청했다.
앞서 도는 지난 1월과 2월 용인과 성남에서 사회복지 공무원이 업무 부담 등을 호소하며 자살사건이 잇따르자 시·군 사회복지과장 긴급회의를 열고, 도내 사회복지 전담공무원 근무환경 개선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도는 올해 520명의 신규 사회복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팀장 등 장기근속 공무원과 멘토링 결연을 맺어 심리적 안정 속에서 일하도록 하고, 지역정신보건센터와 연계해 사회복지공무원의 심리 상담 및 전문심리검사를 실시하는 등 고위험군 공무원에 대한 치료와 사례관리를 병행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당초 2014년 말 예정됐던 사회복지공무원의 인력 확충계획을 2014년 3월로 앞당기고, 사회복지 공무원 1명이 근무하는 주민자치센터의 경우 해당 인력을 2명 이상으로 늘릴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