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도내 31개 시·군의 녹색제품 평균 구매율이 17.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택, 시흥, 가평 등 일부 지자체는 10%에도 미치지 못해 9년 차에 접어든 공공기관 녹색제품 의무 구매제도가 헛바퀴를 돌고 있다.
28일 경기도가 도내 31개 시·군의 녹색제품 구매실적(조달청 및 녹색장터)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지자체(경기도 제외)가 환경부로부터 환경마크 인증을 받은 건설자재, 사무용기기 등 113개 품목을 구매한 총 금액은 652억4천958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과 ‘경기도 녹색제품 구매촉진 조례’에 의해 도내 31개 시·군에서 소요되는 제품 중 의무적으로 구매토록 한 녹색제품 구매 총액(3천813억62만원)의 17.1%에 그친 수준이다.
환경부는 지난 2005년부터 에너지낭비와 오염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제품의 구매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 녹색제품 의무구매제도’를 시행 중이다.
도 관계자는 “녹색 제품 구매 품목 중 재생 아이콘의 비중이 지자체에 따라 50~70%를 차지한다”며 “하지만 구매 담당자들이 재생 아스콘에 대한 불신으로 구매를 꺼려 녹색 제품 구매율 개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시·군별 녹색제품 구매율은 평택시가 4.5%에 그쳐 도내에서 가장 낮았다.
평택시는 지난해 282억2천829만원의 의무 구매액 중 13억4천266만원만을 녹색제품 구매에 사용했다.
또 ▲시흥시(7.4%) ▲가평군(8.3%) ▲포천시(8.6%) ▲연천군(9.2%)의 구매율은 10%를 밑돌았고, 안성·하남시(10.8%)는 10%를 겨우 넘겼다.
반면, 의왕시는 45.3%로 도내에서 구매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구리시(33.1%) ▲안산시(32.9%) ▲수원시(25.6%) ▲양평군(24.5%) ▲광주시(24.3%) 등의 순이다.
도 관계자는 “올해 녹색제품 구매율을 높이기 위해 우수 시·군 담당자에게 표창을 수여하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구매 비중이 큰 재생 아스콘의 구매율을 전년 대비 10% 이상 구매토록 각 지자체에 협조를 구해 구매율을 한층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의 지난해 녹색 제품 구매율은 23.0%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제주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