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교신도시로 이전하게 될 경기도청 신청사 착공 등 본격 사업추진은 결국 김문수 지사가 아닌 차기 도지사의 몫으로 넘겨질 전망이다.
재정 악화로 신청사 건립이 보류됐다가 재개되면서 기본 및 실시설계, 입찰 등의 행정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착공은 빨라야 2014년 9~10월쯤으로 예상되고 있다.
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 11월 청사 이전을 위한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를 재개했다. 김 지사가 지난해 4월 가중되는 재정난을 이유로 신청사 건립을 보류한 지 7개월 만이다.
기본 및 실시설계는 공간건축사무소에서 맡아 오는 2014년 2월 완료할 예정이다.
당초 도는 98억1천5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올해 7월까지 신청사 이전을 위한 기본 및 실시설계를 완료할 계획이었다.
도는 설계가 완료되면 원가산정·공법선택·설계 등의 적정성을 위한 계약심사와 입찰공고 등 행정절차를 거쳐 사업자를 선정,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총 소요기간은 계약심사에 1~2개월, 사업자 선정에 3~4개월 정도다.
결국 경기도청 광교신청사의 착공은 빨라야 내년 9~10월에나 가능하게 된다. 김 지사의 임기는 내년 6월 말까지다.
기본 및 실시설계 작업이 늦어지면서 당초 2016년 예정이었던 준공시기도 2017년으로 늦춰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경기도청 광교 신청사는 연면적 9만6천여㎡에 10~20층 규모로 조성되며, 공무원 1천700명과 도민 1만여명이 광교신도시로 유입될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계약심사 및 사업자 선정을 위한 입찰공고 등의 절대적 시간이 필요해 빨라야 내년 9~10월 착공에 들어갈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도청 신청사의 기본 및 실시설계를 맡고 있는 공간건축은 지난해 12월 부동산경기 침체에 따른 미수금 누적·설계 용역업체 간 경쟁 심화 등에 따른 경영난으로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 지난 1월부터 회생절차를 밟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