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는 쓰레기 무단투기 근절을 위해 종량제 규격봉투를 사용하지 않은 쓰레기를 일체 수거하지 않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김지완 환경국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쓰레기 종량제가 시행된 지 18년이 지났지만 종량제 봉투 사용률은 60% 미만”이라며 “무단투기와 재활용품 혼합 배출을 근절하기 위해 강력한 조치를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쓰레기 수집운반 청소원들은 종량제 규격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비닐봉지 등에 담아 버린 쓰레기를 아예 수거하지 않는다.
시는 과거처럼 일시적인 조치에 그치지 않고 무기한 수거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또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지 않고 일반 쓰레기와 혼합해 배출한 사실이 적발되면 해당 지역 쓰레기 반입을 열흘 동안 정지하고 2회 적발되면 1개월 동안 반입을 정지한다.
재활용품 혼합배출 여부는 소각장에서 쓰레기를 소각하기 전 주민감시단이 확인한다.
시는 단속 감시원 395명과 도로환경감시원 102명을 골목 쓰레기 집하장 등에 배치, 불법 투기행위를 감시하도록 했다.
시는 이같은 사업 내용을 설명한 전단 300만장을 만들어 배포하고 현수막 1천500개를 도로변에 부착했다.
김 국장은 “무단투기 쓰레기는 절대 수거하지 않는다는 이번 조치는 어떠한 어려움이 있어도 지속하겠다”며 “이번 기회에 쓰레기 무단투기를 뿌리 뽑아 쾌적한 환경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