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수도권매립지 폐쇄땐 도내 민간 사업장 ‘폐기물 대란’ 온다

도내 매립지行 물량 90%가 건폐물 등 민간 업체서 발생
3년뒤 사용 종료…충남 등지 민간매립장 이용 비용 폭등

오는 2016년 종료되는 수도권매립지의 사용 연장여부를 두고 인천시와 서울시가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매립지의 사용 중지 이후 수도권매립지 의존도가 90%에 육박하는 경기지역 건설업체 등 민간 사업장에 ‘폐기물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반면 도내에선 유일하게 수도권매립지에 생활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는 시흥시와 평택시는 각각 오는 2016년 전·후로 자체 처리시설을 가동할 예정이어서 매립지 사용 중단에 따른 여파가 미미할 전망이다.

8일 경기도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경기지역에서 수도권매립지에 폐기물을 반입하는 규모(2012년 기준)는 하루평균 3천168t으로 전체(8천960t)의 35.3%를 차지한다. 이중 사업장폐기물은 하루평균 2천825t(89.2%)으로 생활폐기물(하루평균 343t/10.8%)의 9배에 육박한다.

건설현장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 사업장폐기물의 처리는 민간 사업자가, 일반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폐기물은 지자체가 각각 책임을 맡는다.

도내에서 수도권매립지로 반입되는 생활폐기물 발생처는 시흥시와 평택시가 유일하다.

도 관계자는 “두 곳은 오는 2016년 수도권매립지 사용이 종료돼도 ‘시흥그린센터’(2016년 준공예정)와 ‘평택에코센터’(2017년 준공예정) 조성을 통해 자체 처리능력을 갖춰 매립지 부재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반해 도내에서 수도권매립지를 이용하는 200여개의 사업장폐기물 배출 사업체는 직접적인 타격이 우려된다.

당장 수도권매립지가 사라지면 지방에 위치한 민간 매립지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어서 폐기물 운송 부담비가 2~4배 이상까지 폭등할 전망이다.

현재 서울을 포함한 경기지역 업체들이 이용할 수 있는 사업장폐기물 매립지는 충북(3곳), 충남(2곳), 전북(4곳) 등이다.

그러나 수도권과 근거리에 위치한 충북과 충남에 소재한 매립지 5곳은 모두 민간에서 운영, 매립 용량이 모두 합쳐 367만5천918㎥에 불과하다.

이는 2044년까지 매립이 가능한 수도권매립지 전체 매립용량(2억2천800만㎥)의 1.6% 수준이다. 2000~2016년까지 승인된 매립용량(7천800만㎥)과 비교해도 4% 수준에 그친다.

이에 따라 경기와 서울권에서 쏟아진 사업장 폐기물이 전북과 경남까지 밀려 내려갈 가능성도 클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건설폐기물수집운반협회 관계자는 “경기지역에서 수도권매립지까지 사업장폐기물을 운송할 경우 수송 비용은 평균 트럭(24~35t급) 1대당 약 50만~60만원(13~15t 적재) 수준”이라며 “전북과 경남 등지까지 밀려 내려갈 경우 그 비용이 150만~200만원까지 상승하게 되고 결국 비용 부담이 커진 사업장들이 불법 매립에 나서는 부작용도 속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