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도정의 양 축인 행정1부지사와 경제부지사가 새로 취임하면서 최우선 과제로 던진 화두가 공교롭게 ‘일자리’로 압축됐다.
이를 두고 공직사회에서 경제부지사의 역할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19일 도에 따르면 취임과 동시에 ‘인사청탁 근절’을 선언한 박수영 행정1부지사는 지난달 24일 열린 취임식에서 희망·경청·선도 행정을 강조하면서 이를 위한 최우선 과제로 건강한 ‘일자리 창출’을 꼽았다.
이를 위해 박 부지사는 일자리의 창출·유지·알선을 위한 칸막이 없는 실·국 융합적 협력방안을 모색토록 요구했다. 이는 박근혜 정부가 역점 과제로 공직사회의 ‘칸막이 행정’ 병폐를 해소하기 위해 12개 협력과제를 우선 추진키로 한 것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어서 보다 속도감있게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박 부지사는 각 실·국별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방안을 마련토록 지시, 지난 16일 직접 주재한 ‘일자리 정책 점검’ 실·국장회의에서 추진방안을 검토했다.
실·국장회의에서는 각 실·국 및 사업소에서 18개 분야의 일자리 창출 방안이 보고됐다.
같은 날 취임식을 갖은 김희겸 경제부지사 역시 “일자리의 80%는 중소기업에서 나온다. 현장 의견을 반영한 일자리 창출 및 중소기업 육성에 노력할 것”이라며 ‘일자리 창출’을 강조했다.
이로 인해 공직사회에서는 경제부지사의 역할 축소 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기존 경제부지사가 주도했던 일자리 창출분야의 총괄 책임이 행정1부지사로 옮겨가면서 경제부지사의 역할이 축소, 결국 정무 역할만 남게 될 수도 있다는 우려와 혼선 때문이다.
도는 지난해 3월 경제기능 활성화를 위해 정무부지사의 명칭을 경제부지사로 변경, 기존 정무업무뿐 아리라 일자리 창출과 베이붐 세대의 재취업 알선 등의 역할을 맡겨왔다.
취임 당시 박 부지사가 강조한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와 수도권 규제완화 등의 차질없는 진행 역시, 지난해 신설된 경제부지사가 주도적으로 맡아오던 역할 중 하나다.
도 관계자들은 “그동안 일자리 창출 분야에 대해선 경제부지사가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고, 가장 큰 임무 중 하나였다”면서도 “일자리 창출관련 업무의 총괄 책임이 행정1부지사로 옮겨가게 되면 결국 남는 것은 정무 역할 뿐이어서 혼란스럽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