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명품도시’를 자처하는 수원 광교신도시에 학생 수용계획에서 빠진 주거용 오피스텔이 우후죽순 들어서 과밀학급이 우려된다는 본보의 연속된 지적에 따라 국민권익위원회까지 해결책 찾기에 나섰지만(본보 2012년 10월10·11·15일, 2013년 1월7·9일 1·23면 보도) 학교 신설 당사자 간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아 과밀학급 해소를 위한 방안 마련에 빨간불이 켜졌다.
26일 경기도시공사, 수원교육지원청, 광교신도시 주민 등에 따르면 지난 22일 광교신도시 내 과밀학급 해소를 위한 대책회의를 가졌으나 네탓 공방만 벌인 채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이 자리에서 광교신도시 주민들은 용역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면 2015년 3월 개교가 불가능하다며 당장 부지를 확정해 공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원교육청은 오피스텔이 과밀학급 현상의 주범이라는 본보 보도 이후 광교신도시 에듀타운의 학생수 증가분석 결과, 오피스텔의 학생수 비율은 일반 아파트 인구의 학생수인 24%의 절반인 10~15%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돼 오피스텔도 학생수용계획에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더욱이 2015년에는 광교신도시에 오피스텔 800여 가구가 추가 입주할 예정이어서 학생수용계획에 포함되지 않은 총 1만3천여실이 들어서면서 학교 과밀화에 주된 이유가 될 것으로 분석했다.
수원교육청 관계자는 “현재 경기도시공사와 학교 설립규모와 시기에 대해 조율중이지만 이견이 있어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경기도시공사는 7월말 최종 용역결과가 나와야 학교부지를 확보할 수 있다며 난색을 보이고 있다.
도시공사 관계자는 “다음달 초 중간용역 결과가 나오면 이를 토대로 재검토하면 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민권익위는 지난 1월 이성보 위원장이 주재한 현장조정회의를 열고 광교신도시의 추가 학생수요를 파악한 뒤 학교설립 규모를 재검토하라는 중재결정을 내린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