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위력을 떨치면서 정치인들에 이어 공직자들까지 앞다퉈 SNS를 이용한 자기 알리기에 나서 ‘SNS 피로감’이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공직자들이 ‘소통행정’을 내세워 SNS를 이용한 ‘업적 과시’나 ‘강제 홍보’ 등 강요 등의 역효과에 대한 비판까지 나오면서 ‘SNS 공해’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경기도는 스마트폰 소유자 대부분이 사용하는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한 SNS인 카카오스토리를 활용해 도정 홍보에 나섰다.
국내 3천800만명이 가입돼 있는 카카오스토리는 친구를 맺으면 사진과 메시지를 공유하고, 댓글을 통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만큼 도는 1천200만 경기도민과 소통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수원시는 이보다 한층 더 SNS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최근 간부급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SNS사용법 교육을 실시했고, 도내 31개 시·군 자치단체장은 물론 대다수 지자체가 SNS 전담팀을 구성해 24시간 시정 홍보에 매달리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각 지자체와 공직자, 정치인들이 SNS를 활용한 홍보에 앞다퉈 뛰어들면서 하루에도 수십건의 각종 메시지가 날아 들어 소통과 참여는 커녕 일방적인 강요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실제 지난 3일 아침 과장급 이상 간부직원이 참석한 주례간부회의를 연 수원시의 경우, 회의에 참석했던 대다수 직원들이 사진을 포함해 천편일률적인 글을 경쟁하듯 SNS에 올려 회의를 중계했다.
이에 따라 많은 시 공직자들과 친구관계가 맺어진 한 시민의 페이스북에는 10명의 과장급 공무원들이 주례간부회의 현장중계 사진을 포함한 글이 올라오는 등 심각한 SNS 공해에 시달렸다.
시민 박모(36)씨는 “알고 지내던 시청 과장이 주례간부회의 소개글을 올려 댓글을 달았다가 하루종일 관련된 알림을 확인하고 삭제하느라 업무를 보기 어려웠다”며 “SNS를 통한 시정홍보도 좋지만 사진찍어 올리기에 바쁜데 회의가 제대로 될까 싶기도 하고, 여러 명이 동시다발적으로 같은 주제로 글을 올리는 것은 강제 소통에 공해 그 자체”라고 지적했다.
최모(48)씨도 “일부 공직자들의 SNS는 사실과 다른 내용의 자기변명용 정책홍보까지 올라가 있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며 “자칫 SNS를 악용한 억지 시정홍보에 대한 우려도 든다”고 꼬집었다.
한국소셜네트워크협회 관계자는 “SNS가 공식 보도매체도 아닌데 지나치게 많은 글과 사진을 연속해서 올리는 것은 사회적으로 나비효과를 불러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순기능 못지 않은 역효과에 대한 판단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