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초부터 추진하던 ‘경제부지사’의 ‘정무부지사’ 환원 방침을 내부적으로 결정했다.
하지만 ‘일자리가 최상의 복지’라고 주창하면서 경제부지사를 신설했다가 1년여 만에 다시 대외 정무기능을 강화하는 정무부지사제로 환원, 김문수 지사의 잔여임기 1년여를 앞둔 시점과 맞물려 대권 행보용 포석에 무게가 쏠리면서 귀추가 주목된다.
도 관계자는 16일 “국회와 정치권에 대한 활동 강화를 위해 경제부지사를 정무부지사로 환원키로 내부 방침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정무부지사 부활은 1년여 만이다. 도는 지난해 3월 경제기능 활성화를 위해 정무부지사의 명칭을 경제부지사로 변경, 기존 정무업무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 등의 역할을 맡겨왔다.
이 관계자는 이어 “올해초부터 정무부지사 환원 방안이 논의 됐으나 지난 4월 도와 안전행정부 간 2:2 인사교류로 인해 늦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도는 지난 4월 박수영 행정1부지사와 김희겸 경제부지사의 복귀 및 김성렬 전 행정1부지사와 이재율 전 경제부지사의 안행부 전출 과정에서 경제부지사를 없애고 정무부지사를 부활하는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김희겸 현 경제부지사가 북부청으로 자리를 옮겨 행정2부지사를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최승대 행정2부지사는 명예퇴직 후 공석인 경기도시공사 사장으로 자리를 옮길 것으로 알려졌다.
부활되는 정무부지사는 유연채 전 정무부지사와 같이 외부에서 수혈할 가능성이 크다. 후보군에는 새누리당 당료 출신의 P전 의원, 김 지사를 도와온 노동계 출신의 L전의원 등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를 두고 도 주변에선 “김 지사의 정무라인 강화는 3선 도전을 위한 조직 안정화”라는 시각과 함께 “차기 대권 도전을 위한 국회 등 대외관계 강화를 위한 것”이라는 견해가 맞서 팽팽한 설전도 빚어지고 있다.
내부 방침이 결정되면서 빠르면 다음주 중 정무부지사 환원을 위한 조직 개편작업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달 2일부터 열리는 제280회 정례회 1주일 전인 이달 24일까지 조직개편을 위한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개정안’을 작성, 도의회에 제출해 의결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의외의 변수가 도사리고 있다.
도의회가 ‘칸 영화제’ 외유와 거짓 해명으로 물의를 빚은 윤화섭 의장의 사퇴 거부로 제279회 임시회 당시 개·폐회도 못한 채 파행된데다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운영중인 민주당의 신임 대표의원단 선출, 윤 의장 사태에 대한 수습책 마련도 난항을 겪으면서 다음달 중 처리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