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5급 사무관 108명에 대한 전보 및 승진 인사를 단행하면서 발칵 뒤집혔다.
온종일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 ‘인사 파행’을 둘러싼 잡음으로 문제를 제기한 11건의 도청 공무원노조 자유게시판은 이틀새 1만5천600여건의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인사 실무를 담당하는 지원부서 위주의 돌려막기식 고속승진과 사업부서 근무자들의 상대적 박탈감, 관행적으로 굳어져온 전보제한의 무시, 불과 일주일 전에 사전예고했던 5급 결원직위조차 ‘폐기처분’한 인사예고제 등이 논란의 핵심으로 떠올라 특정부서 중심의 특혜인사 논란으로 번지고 있다.
사례 하나. 지원부서인 A국 주무부서의 승진서열순위 최고참급인 B씨의 경우 기대와 달리 도의회로 전보됐다. 당초 B씨의 업무를 맡아왔던 C씨는 인사대상에 포함되지 않았음에도 도 산하기관의 팀장으로 떠밀리듯 옮기게 됐다. C씨의 경우 올해초 도 본청에서 도의회로 발령난 터였다. 불과 7개월여 만에 보따리를 또 쌌다.
마침 C씨가 발령난 자리에 있던 D씨는 공교롭게도 B씨의 자리를 꿰찼다. 한마디로 돌려막기다. D씨는 불과 1년여 전에 A국 주무부서에서 근무했던 터라 ‘컴백’한 셈이다. 더구나 D씨는 동기들보다 2년여 빨리 사무관으로 승진해 산하기관에서 근무하다 기용됐다.
앞서 도는 지난 12일 ‘5급 결원직위 사전예고’를 통해 총 61개 자리에 대한 인사대상 예고를 실시했었다. 물론 사전예고에 3명의 돌려막기 자리는 해당되지 않았었다.
여기서 문제가 불거졌다. D씨의 컴백은 결과적으로 그동안 관행적으로 굳어져온 전보제한 조치를 아예 무시한 때문이다. D씨는 지난해 7월22일 사무관으로 승진, 산하기관에서 근무해오다 이달 18일자로 발령되면서 ‘4일’을 못 채워 전보제한을 어기게 됐다.
또한 도의회에서 떠밀리듯 산하기관으로 발령난 C씨 역시 1년도 못채우고 옮기게 됐다. 연공서열 등 기본원칙이 지켜지지 않은데다 특정인 승진에 방해(?)되는 고참 공무원들을 한직으로 내몰고 제식구 챙기기를 위한 꼼수 논란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부서 이동 1년 미만일 경우 적용되는 전보 제한의 ‘룰’이 깨졌다.
사례 둘. 인사 실무부서에 근무중인 E씨의 경우 3년여째 동일 부서에서 일해왔다. 역시 해당 과에 3년 근무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한자체 기준에도 어긋난다.
도는 지난 2006년부터 한 부서에서 3년 이상 근무할 수 없도록 내부방침을 운영해왔다. 이는 이달말이나 다음달 초에 열릴 예정인 근무평정위원회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근무평정은 곧 승진과 직결돼 있다.
이로 인해 인사관련 부서를 중심으로 인사평정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는 새내기 사무관을 대거 우선배치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반면 사업부서인 타 실국의 경우 인사평정 비교순위에서 되레 하위로 대거 밀려나면서 칼자루를 쥔 특정부서 위주로 짜여진 도 개청 이래 최악이라는 인사평도 서슴없이 나오고 있다.
도 직원들은 “일하는 공무원은 홀대받고, 줄만 잘 서면 앞날이 훤하니 상대적 박탈감이 크다”며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인사원칙은 지켜져야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