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1대만 멈춰도’ 순환단전 재발

연일되는 폭염으로 전력사용 신기록 경신
철강 등 426개 업체 긴급절전 약정… 초비상

정부와 한국전력이 사상 초유의 기업체 긴급 절전을 시행하고, 사업장에까지 한전 직원들을 투입해 절전을 독려키로 한 것은 전력 수급에 초비상이 걸려서다.

지난 5월 불량 부품으로 원전 3기가 가동 중단돼 전력 공급이 부족해진데다 연이은 폭염과 열대야 탓에 전력 수요가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우면서 전력대란 발생을 우려해 총동원령을 내린 것이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말대로 “자칫 발전기 1대만 불시에 고장나도 2011년 9월15과 같은 순환단전을 해야 하는 비상 상황”이 현실화되면서 뚜렷한 대응책을 찾지 못한채 부랴부랴 대국민 호소에 매달린 상황이다.



■ 전력난, 9·15 대정전 이후 최대 위기 =지난 9일 전력 수요는 7천935만㎾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지만 산업부는 12일과 13일 각각 8천50만㎾로 이 기록을 갈아치울 것으로 전망했다.

당초 예측한 7천870만㎾를 180만㎾ 초과하는 올 여름 최대 전력 수요인 반면, 전력공급 능력은 7천744만㎾에 불과하다.

하루 예비전력이 450만㎾를 웃돌아야 안정적인데 산술적으로 예비력이 마이너스 306만kW까지 떨어질 전망이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같은 기간 기업체 의무 절전(230만㎾), 휴가 분산(120만㎾) 등을 포함한 갖가지 상시대책을 통해 예비전력을 180만㎾로 끌어올려도 전력경보 단계상 ‘경계(100만㎾ 이상~200만㎾ 이하)’ 수준에 그친다.

426개 기업체가 비상대책인 긴급절전(150만㎾)을 실시하고, 전압 하향조정(70만㎾), 화력발전소 최대출력 운전(40만㎾)을 해야 겨우 예비전력을 420만㎾ 확보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수급경보 ‘경계’는 2011년 9·15 순환정전 당시 예비력이 20만kW까지 떨어지면서 ‘심각’ 단계 발령 이후 가장 위험한 수준이다.



■첫 긴급절전 시행할 수도 =예비전력이 100만㎾대로 낮아지면 긴급절전이 불가피하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다. 긴급절전은 9·15 순환단전에 따라 2012년 도입한 제도다. 순간 최대전력 3천㎾(계약전력) 이상을 사용하는 426개 기업체와 한국전력이 사전에 맺어놓은 약정으로 순환단전을 막기 위한 최후의 보루다.

대상은 주로 전기 사용량이 많은 철강·시멘트·화학·제지업체다.

긴급절전은 의무절전 규제와는 별개의 비상조치다. 최대 전력 수요를 충족하고 남은 예비전력이 100만㎾를 5분 이상 밑돌 때 전력공급을 한시적으로 끊는 조치로 ‘블랙아웃(대정전)’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다.

현행 순환단전 매뉴얼은 1순위에 주택·아파트, 일반상가, 2순위로 다중이용시설 공급선로, 산업용 일반, 산업용 공단, 3순위는 농어업·축산업 등 정전민감고객(양식장 등), 대규모 산업용(66㎸ 이상)으로 분류돼 있다. 순환단전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으로 확대하고 차단단위도 10만㎾에서 50만㎾로 늘렸다.



■ 한전, 전 직원 사업장 등에 상주시켜 절전 독려 =한전은 11일 전국 180개 지사에 총동원령을 내렸다. 계약전력 3천㎾ 이상인 1만4천개의 전력다소비 기업체 사업장과 빌딩 등에 1만2천여명의 지사 전 직원을 상주시키며 절전을 독려하기로 했다. 이런 비상 동원령이 내려진 것은 한전이 생긴 이후 처음이다.

한전은 100~3천㎾ 전력소비처에는 콜센터 전화로, 10㎾ 이상은 SNS(휴대폰 문자메시지)로 절전 동참을 호소할 방침이다. 정부는 예비전력이 200만㎾ 이하로 떨어질 경우 민방위 사이렌도 울릴 계획이다.

산업부는 절전규제를 지키지 않은 기아차(광명·광주·광산·오산)와 현대차(전주·울산·아산)를 비롯한 20여개 대기업 명단을 공개하고, 전력수급 위기 극복을 위한 동참을 강력히 촉구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