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한강하구~파주~연천~철원~고성을 벨트로 묶어 공원을 조성한 뒤 북한지역까지 확대하는 ‘비무장지대(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안을 13일 공개했다.
또 이를 추진하기 위한 도와 강원도, 군(軍),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추진단 구성을 제안했다.
경기도는 13일 파주·연천지역에서 열린 찾아가는 실·국장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DMZ 세계평화공원’ 구상안을 공개했다.
구상안에 따르면 도는 우선 한강하구∼파주∼연천∼철원∼고성을 잇는 공원을 조성한 뒤 민통선~군사분계선 남쪽에서 북한지역으로 점차 확대한다.
이를 위해 유럽그린벨트 유관기관, 도, 강원도, 국제기구, 전문가로 구성된 국제지역협의체 ‘글로컬 커미티’를 구성할 계획이다. 글로컬 커미티는 중앙정부 제안이나 협력방안 제시 등의 역할을 맡는다.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은 3단계로 추진된다.
1단계로 강원도·군·연구기관 등과 함께 추진단을 구성해 지뢰 실태와 사유지·생태계 등을 조사한다.
2단계로 파주시와 연천군이 제시한 곳에 소규모 평화공원을 조성하고, 3단계로 고성까지 거점을 연결해 벨트화한다는 구상이다.
파주시는 평화공원 후보지로 민간인출입통제구역인 장단면 동장리를 제안했다.
남방한계선과 북측 사천강 사이에 있는 구릉지대 1.5㎢다. 이곳에 탐방로를 조성하고 평화 상징물을 세운다.
또 평화공원과 장단반도 사이에 배후도시를 건설, 국제기구 협력사무소를 유치하고 컨벤션센터와 외국인 주거 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연천군도 민간인출입통제구역인 중면 횡산리 일대를 지목했다.
태풍전망대 앞 임진강 유역이다. 남북 공유지역 수자원을 함께 이용할 수 있어 평화공원으로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이곳에 국제수자원 기구 등을 유치하고 임진강 공동관리위원회를 설치하는 한편 연천평야를 활용한 평화농장을 계획했다.
김문수 지사는 “DMZ는 보전과 활용을 통해 역사와 안보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국제적 관광거점으로의 육성 가능성이 충분하다”며 “북한 측 대답을 기다리기에 앞서 군사분계선 남쪽부터 조성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