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대형교통사고나 심장마비, 뇌졸중 등 생명이 위독한 응급환자들이 대형 종합병원 응급실에서 진료를 거부당해 생명을 위협받는다는 본보 지적(본보 8월 28일자 23면 보도)과 관련, 정부가 대책을 마련해 응급환자들의 소생률이 높아질 전망이다.
2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복지부는 대한응급학회와 함께 응급환자 이송과정의 허점을 보완한 ‘병원 간 안전한 응급환자 전원을 위한 이송지침’을 만들어 보급에 나섰다.
복지부는 응급의료기관과 전문의 간 환자의 전원 전용 핫라인(유무선전화)을 설치해 복잡한 응급환자 전원 단계를 대폭 줄였다.
전국 시도별 응급의료기관에 당직전문의 전용 무선전화를 지급해 전문의에게 직접 연락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전국 응급의료기관 438곳 중 375곳이 핫라인 구축에 참여해 총 629개 회선(유선 404개, 무선 225개)이 설치됐다.
이중 전문의 전원전용 핫라인 휴대전화는 모두 110개에 달한다.
이와 함께 소방방재청과 협조해 의료기관이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 의뢰해 환자를 전원할 수 있는 응급의료기관을 편리하게 안내받을 수 있도록 별도의 직통유선번호(응급실-119 핫라인)를 개설했다.
과거 국내 응급의료기관 간 환자 전원 연락체계가 간호사→레지던트 1년차→레지던트 4년차→전문의 등으로 복잡하게 얽혀있어 각 단계마다 병실부족 전문의부재 등의 이유로 응급환자를 수용할 수 없다며 거절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응급환자가 제대 치료를 못 받아 목숨을 잃거나 수술 후에도 장애에 시달리는 일이 자주 벌어졌다.
실제 올해 ‘3대 중증 응급환자의 최종치료기관 도착비율’은 전국 평균 48.6%에 불과해 응급환자의 생명이 위협받는 상황이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응급환자가 병원을 전전하지 않고 신속하게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며 “앞으로 전원환자 질 관리 평가시스템을 정비하는 등 응급환자의 의료이용 만족도를 높이고자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