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6·4 지방선거에 나설 도지사 후보들 공약에 도의 전략과제를 반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반영할 전략과제는 7개 분야 25대 전략으로 압축된다.
경기도는 6월 도지사선거 후보들의 공약에 도의 전략과제를 반영키로 하고, 현재 경기개발연구원과 TF(태스크포스)팀을 꾸려 세부 과제를 마련 중이라고 18일 밝혔다.
전략과제는 지난해 9~10월 실시한 도민의식 조사를 토대로 권역별, 시·군별 발전과제 ‘7개 분야 25대 전략’으로 구성됐다.
7대 분야는 ▲새로운 일자리와 신성장 동력 ▲도민복지와 안전사회 실현 ▲도민 체감의 행복생활 인프라 구축 ▲환경·에너지복지와 자원순환형 사회 ▲동·북부지역 개발 활성화와 균형발전 ▲재정 건전화와 참여행정 ▲지자체 중심의 남북교류 협력 및 국제교류 확대 등이다.
도는 이달 말까지 분야별 세부 과제를 확정, 3~4월 여야 후보군이 구체화되면 공약 기초자료로 제공할 계획이다.
앞서 도는 지난해 9월27일~10월5일 만 10세 이상 도민 5064명을 대상으로 ‘2014년 경기도정 10대 과제’ 면담조사를 실시했다.
이 결과 민선 6기 마지막인 2018년까지 해결을 원하는 최우선 과제로 ‘주택·부동산시장 활성화와 임대주택 공급 확대(25.9%)’가 꼽혔고, 교통문제 해결(24.6%), 기업유치와 일자리 창출(17.3%), 의료보건사회복지서비스(10.1%), 공교육환경의 개선(8.3%) 등이 뒤를 이었다.
2018년까지 원하는 사회상은 복지가 잘 돼 있는 경기도 30.8%, 일자리가 최고인 경기도 27.1%, 생활이 편리한 경기도 25%, 환경이 쾌적한 경기도 9.1% 순이었다.
도는 지난 2012년 총선과 대선 때도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8대 과제 37개 사업’에 대한 공약화를 추진한 바 있다.
도 관계자는 “도지사 후보들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약을 내놓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라며 “각 정당과 연계해 과제가 공약에 반영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