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도내 학교시설 공사의 약 30%에 불과한 도내 건설업체의 수주 물량을 49%까지 끌어올리는 지역 건설 활성화 방안을 추진한다.
도는 올해부터 오는 2018년까지 5년간 공급 예정인 도내 학교 209개소 중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중앙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191개소에 대한 지역의무공동도급 비율을 상향 조정하기 위해 이달 중 기획재정부에 관련 계약 예규 개정을 건의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지난 2012년 기준 도내 건설공사 총 발주액은 약 30조5천억원이다.
이 가운데 서울 건설업체의 수주율은 52.5%(약 16조원)로 전체의 절반을 넘어섰지만 도내 건설업체는 30%(약 9조1천500억원)로 저조하다.
이는 학교시설 설치 주체인 교육청과 LH 등 중앙 공공기관 간의 입찰집행 기준이 상이하고 공사를 ‘턴키’ 또는 ‘번들링’ 형태로 발주하면서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지역 중소업체의 입찰 참여가 어렵기 때문.
턴키는 자재 납품에서 토목까지 일괄 시공·관리하는 공사를 말하며, 번들링은 두 개 이상의 다른 공사를 하나로 묶어 통합발주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도는 우선 중앙 공공기관의 지역의무공동도급 비율을 도내 공공기관 수준으로 상향 조정에 나선다.
현재 해당 지역 건설업체에 공사의 일정량을 할당하는 지역의무공동도급 비율은 경기도와 교육청이 49%인 반면, LH 등 중앙 공공기관은 30%에 그친다.
도 관계자는 “올해부터 오는 2018년까지 공급되는 도내 학교 공사물량은 총 1조7천억원으로 지역의무공동도급 비율이 49%로 개정되면 향후 5년간 도내 건설업체의 수주액이 약 5천억원에서 8천억원 이상으로 불어나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성민기자 h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