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부천시가 수백억원대의 광역도로공사를 진행하며 시민의 안전을 무시한 자전거도로를 조성해 말썽을 빚고 있는 가운데(본보 12일자 8면 보도) 절개한 일부 법면부분이 그대로 방치되고, 식재된 가로수 일부가 고사된 상태에서 준공처리에 급급한 것으로 드러나 업체 봐주기라는 의혹을 사고 있다.
더욱이 예산이 국·도·시비로 충당되는 공사에 당초 설계가 반영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설계변경을 통해 안전펜스 등 시설을 해야 시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데도 현재 시는 정산이 끝나 사후관리청인 오정구청에서 안전시설을 하는 것이 관례라고 밝혀 예산낭비를 자초하고 있다.
15일 시에 따르면 편입용지 보상비를 포함해 총 598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오정구 작동 여월택지에서 서울남부순환로 간 광역도로를 2010년 2월25일 착공해 지난달 30일 준공했다.
이 공사는 J종합건설에서 시공을 맡고 D엔지니어링이 책임감리를 맡아 공사를 진행했고, 지난달 30일 시 회계과에 준공계가 접수돼 현재 준공검사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준공검사 중인 지난 12일과 13일 산기슭 절토 법면이 절개된 채 방치되고 있는 것은 물론 도로 조경수 일부가 마르거나 탈색된 상태로 고사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상황에서도 시는 “준공은 책임감리자의 전적인 소관이므로 시는 사후 감리로부터 인수받아 하자부분에 대해서는 감리업체와 함께 처리해 나간다”며 선 준공 운운해 비난받고 있다.
임모 안전교통국장은 “이 공사는 책임감리로 감리업체가 준공계를 제출하면 준공일을 지켜줘야 한다”며 “이후 시가 인수받아 유지관리를 하는 것이고, 만일 하자가 생기면 감리업체가 책임을 지는 것”이라고 밝혔다.
담당공무원은 안전펜스 설치와 관련해 “당초 설계에 반영되지 않았던 것은 사실”이라며 “준공 후 관리청인 오정구청에 인계하고 그 다음에 설계를 통한 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통상적인 관례”라며 “조경수 고사부분은 하자기간이 2년이어서 준공 후 언제든지 재 식재할 수 있어 큰 문제는 없다”고 납득키 어려운 입장으로 일관했다.
/부천=김용권기자 yk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