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지사 당선인은 11일 “야당과 함께하는 ‘경기도 연정(聯政)’을 펼쳐 나갈 것”이라며 “야당과 정책연대 협의 후 사회통합 부지사뿐 아니라 추가 야당 인사도 영입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3면
남 당선인은 이날 국회와 경기도청에서 잇달아 기자회견을 열고 야당 인사 영입을 위한 자신의 ‘연정’ 제안과 관련해 “어제 김태년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당 위원장과의 통화에서 ‘그 정신은 좋다. 하지만 인사보다 정책협의가 우선’이라는 대답을 얻었고 저도 이 같은 역제안에 동의, 내일 첫 정책협의에 착수하기로 양측이 합의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종북 좌파만 빼면 어떤 세력, 어떤 정치인과도 함께 논의할 수 있다”면서 “정책도 도민을 위해 좋은 것이라면 이념과 정파를 따지지 않고 열린 마음으로 대화해서 받아들이겠다”고 강조했다.
연정을 위한 여야 정책협의회는 12일 오전 11시 국회 귀빈식당에서 남 당선인을 비롯해 새누리당 김학용 경기도당 위원장, 새정치민주연합 김태년·송호창 경기도당 위원장, 경기도의회 새누리당 이승철 대표의원·새정치민주연합 강득구 대표의원 등 총 6명이 참석, 열릴 예정이다.
여야 정책협의회에서 논의되는 정책은 세월호 참사의 원인이 된 ‘관피아’ 척결과 새정치연합 김진표 경기지사 후보가 냈던 공약 가운데 버스 준공영제, 보육교사 및 사회복지사 처우 문제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남 당선인은 설명했다.
특히 여야 정책연대가 그 과정에서 많은 갈등이 불가피한 만큼 참고 지켜봐 달라고 주문했다.
남 당선인은 “여야의 정책연대 시도는 대한민국 정치사에 처음 있는 일이다. 그래서 전례도 정답도 없다. 많은 토의와 갈등이 불가피한 만큼 인내가 필요한 작업이 될 것”이라며 “독일 메르켈 총리가 연정을 성사시키는데도 4개월이 걸렸다. 참고 지켜봐 달라”고 호소했다.
그는 ‘관피아’ 척결 대안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모든 공공기관에 공무원 재취업을 금지하는 것은 정년이 보장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라며 “공무원의 재취업이 가능한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해 실행하겠다”고 밝혔다./홍성민기자 h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