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4.7℃
  • 맑음강릉 25.5℃
  • 맑음서울 26.3℃
  • 맑음대전 25.8℃
  • 구름많음대구 26.5℃
  • 구름많음울산 22.2℃
  • 구름많음광주 25.4℃
  • 흐림부산 22.2℃
  • 구름많음고창 23.1℃
  • 흐림제주 22.5℃
  • 맑음강화 23.7℃
  • 맑음보은 23.6℃
  • 맑음금산 24.7℃
  • 구름많음강진군 23.3℃
  • 구름많음경주시 24.0℃
  • 흐림거제 21.4℃
기상청 제공

국내 축산농가 초고령화 심각

고령화율 44.3%…절반이상 영농후계자 못구해

“나이는 점점 많아지고, 힘은 떨어지는데 일을 이어갈 사람이 없어 걱정입니다.”

40여년째 한우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최모(69·화성시)씨는 최근 농장운영을 두고 고민에 빠졌다.

자신의 농장을 이어받을 사람을 구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나라 축산농가는 이미 심각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지만, 영농승계 대책은 매우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농협경제연구소는 14일 ‘축산농가의 고령화와 영농승계 활성화 대책 필요’라는 보고서를 통해 통계청의 2013년 농업어업조사에서 전체 축산농가의 고령화율이 44.3%로 우리나라 전체의 3.6배, 농업분야의 1.2배에 달한다고 밝혔다.

고령화율은 전체 인구 중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로, 고령인구 비율에 따라 각각 7% 이상 고령화사회, 14% 이상 고령사회, 20% 이상 초고령사회로 분류된다.

특히 산란계(49.2%)와 육계(48.5%), 한우(45.5%), 오리(40.9%) 등을 사육하는 농가의 고령화 비율이 높았다.

농협경제연구소는 그러나 고령화에 대비한 영농승계자 확보비율은 저조해 축산농가들이 생산기반 약화 등으로 머지않아 큰 위기를 맞이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실제 지난 5월 축산농 300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영농 승계자를 확보하지 못했다는 비율이 49.4%에 달했다.

응답자의 대부분이 앞으로 영농 가능기간이 10.6년 정도로 판단하고 있어 10년 이내에 세대교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황명철 농협경제연구소 축산경제연구실장은 “초고령화 현상심화에 따른 축산 생산기반의 악화와 농가의 경영불안은 축산업 자체의 위험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국제경쟁력을 크게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며 “축산농가 지원을 위해 영농승계시 농지에 대한 납세유예제도와 가업승계 컨설팅 프로그램 도입 등 다양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전승표기자 sp435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