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가계 부문 변동금리 대출자의 평균 이자부담이 연간 11만4천원 줄어들고, 779만6천301명이 수혜대상으로 전망됐다.
특히 금융당국은 금리인하 효과가 가계와 기업의 대출금리 인하로 연결되도록 즉시 대출금리에 반영하라고 시중은행에 당부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금통위가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2.25%로 0.25%포인트 낮추면서 가계와 기업의 은행대출 관련 이자부담이 연간 1조8천억원 감소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3월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 478조5천억원, 대기업대출 잔액 171조원, 중소기업 대출 잔액 499조5천억원 등 은행권 대출 1천149조원 가운데 변동금리 대출분의 금리인하 폭(-0.25%포인트)을 감안해 산출됐다.
차주별로 보면 가계의 1인당 이자부담 감소액은 11만4천원, 기업은 95만5천원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중은행의 순이자이익은 연간 2천700억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은행의 순이자익 감소폭은 국내 시중은행의 당기순이익인 3조9천억원의 7% 정도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리인하로 가계와 기업의 이자부담이 줄면서 부도율과 실업률의 하락 효과가 있다”며 “장기적으로 은행의 대손비용이 감소해 수익성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최근 시카고 연준(Fed)이 장기간의 금리변동이 미국의 은행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은행 전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 수익성이 금리변동 보다 경기변동으로 인한 실업률 하락 등 경기 효과에 더 민감하다는 것이다.
한편, 금감원은 14일 은행 여신담당 관계자들을 불러 금리인하 효과가 가계와 기업에 즉각 반영되도록 조치한데 이어 은행 수익성 악화에 대비해 향후 비이자이익 확대 등 수익구조 개선을 유도할 계획이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