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의 ‘9시 등교’를 두고 보수·진보 성향의 교원단체가 각각 상반된 입장을 내놓고 있다.
교원단체총연합회(이하 교총)는 ‘학교의 자율성 훼손’을 근거로 반대 목소리를 높이는 반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은 ‘학생 수면권 보장’ 등에 적극 공감한다는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정책 시행 전 학교현장의 의견 수렴 과정 소홀이 문제라는데는 뜻을 같이 했다.
전교조 경기지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학생들의 건강권을 보장하는 의미에서 9시 등교를 환영한다”며 “그간 학생들은 입시에 시달려 밀린 잠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눈을 비비며 아침시간을 보내야 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시간과 노력에 비해 비효율적인 학교생활의 반복이었다”며 “하루빨리 정착돼 전국적으로 확산하길 기대한다”고 지지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교총은 앞서 지난달 15일과 18일 보도자료를 내고 ‘9시 등교 즉각 철회’를 주장하며 ‘이를 강행한다면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는 뜻을 보여왔다.
특히 ‘9시 등교’ 본격 시행 하루 전인 지난달 31일에는 경기지역 교원 83%가 이를 반대한다는 설문조사 결과도 발표했다.
교총의 가장 큰 반대 이유는 ‘학교장의 고유권한인 등교시간을 교육감이 권한남용으로 침해하고 있다는 것’으로 취지는 바람직하나 학교현장의 목소리를 외면한 채 강제적으로 정책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지지의사를 보내는 전교조 경기지부는 역시 보도자료에서 “시행과정상의 문제점은 시정돼야 한다”면서 교육주체들과 단위학교의 의견수렴 과정을 소홀히 했다는 점을 꼬집었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