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 경기지역 초·중·고 9시 등교에 대해 이재정 경기교육감은 “(시행에 따른 충격이) 걱정했던 것처럼 심각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 교육감은 2일 출입기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여러 의견을 듣고 공문을 내는 게 충격을 덜할 것이라고 생각해 9시 등교 시행 공문을 늦게 내보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부작용의 사전 고려 여부에 대해서는 “이제 시작이다 보니 시행하면서 해소하겠다”며 “학원에 새벽반이 생기면 조례 등 적절한 방법으로 막겠다”고 답변했다.
또 미시행 학교에 대한 대응 방안을 묻는 질문에는 “학생들 의견을 들어 반대하면 막을 생각이 없고 반대 의견도 존중하며 절대 강압이나 강요, 불이익은 없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또한 “교육계의 오랜 관행과 관습이 두텁더라”며 “교육감이 지시하면 절대적 힘처럼, 거부할 수 없는 법처럼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고 토로했다.
고3 수험생에 대한 시행유보 요구에 대해서는 “비정상을 정상으로 보는 것 자체가 문제”라면서도 “수능을 앞둔 고3이 종전 구조와 패턴을 벗어날 수 없다면 무리하게 시행하지 않도록 말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9시 등교 효과에 대해서는 충분한 아침 잠과 아침 밥을 통한 건강한 정신·육체 성장과 학습 효율성 향상, 인성교육적 측면에서 가족과 함께 하는 아침식사의 중요성, 교육 정상화 차원에서 불필요한 조기 등교 부담 해소 등 세 가지를 들었다.
‘불통 교육감’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학부모단체, 교원단체와 만나며 언론과도 소통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특히 세월호 특별법과 관련해서 이 교육감은 “정치적으로 협상할 대상이 아니라 진상규명이 목적이다”고 말했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