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흐림동두천 29.1℃
  • 흐림강릉 27.3℃
  • 서울 27.8℃
  • 대전 22.9℃
  • 대구 23.6℃
  • 울산 23.2℃
  • 광주 24.1℃
  • 부산 23.1℃
  • 흐림고창 25.2℃
  • 흐림제주 28.2℃
  • 흐림강화 23.9℃
  • 흐림보은 22.7℃
  • 흐림금산 22.3℃
  • 흐림강진군 24.6℃
  • 흐림경주시 23.8℃
  • 흐림거제 23.5℃
기상청 제공

주름

/장옥관

돋보기 쓰고 아내를 보니 온 입가에 잔주름이다

주름진 것들은 모두 슬프다



갓 태어난 딸아이 물미역처럼 쪼글쪼글한 얼굴에도, 누운 지

삼 일만에 흰 나비로 빠져나간 어머니의 무명이불에도

지울 수 없는 주름이 잡혀 있었다



힘줄 튀어나오도록 꽈악, 꽉 움켜쥔 젊은 날 주먹의 안쪽에도

분명 주름이 울고 있었을 것이다



주름의 갈피마다 스며들었던

눈물이여, 슬픔이여



꿈이든 사랑이든, 한순간 팽팽히 부풀었다 꺼진 것들에는 필시

주름이 잡혀 있을 터



침대 위 던져놓은 아내의 낡은 브래지어 캡에도

보푸라기 인 주름이 자잘하게 잡혀 있다

-장옥관, 『현대문학』 2013 3월

 

 

 

주름은 시간의 흔적이다. 세상에서 처음 맞보는 기쁨의 흔적도 있다. 가슴이 아파서 오그라들어 그대로 굳어버릴 것 같았던 시간도 있다. 꿈꾸고 꿈을 좇아 혼신을 다했던 소중한 날들의 기록이 들어 찬 것이 주름이 아니던가. 그래서 주름은 세상 어느 것보다 깊은 아름다움을 품고 있다. 갓 태어난 아이는 엄마의 몸 속에서 보낸 흔적이 생의 첫 주름이다. 꽃처럼 활짝 펼쳐질 주름, 그런 주름도 있고 얼굴 곳곳에 길을 내는 주름도 있다.지내온 시간의 조분조분한, 혹은 격정적인 삶의 기록이다. 그래서 주름은 그 자체로 간직해야 할 지울 수 없는 흔적이다. /이명희 시인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