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뿐 아니라 기업 대출도 빠르게 늘면서 은행의 대출 증가세가 가팔라지고 있다.
1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예금은행의 총대출 잔액(분기말 원화대출 기준)은 1천197조2천521억원으로 1년 전보다 6.3% 늘었다.
전년 동월비 증가율은 작년 3월말 3.2%를 저점으로 6월 3.9%, 9월 4.1%, 12월 5.0%, 올해 1월말 6.1% 등 갈수록 가팔라지고 있다.
가계대출은 부동산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갈수록 빠르게 늘고 있다.
7월말 가계대출 잔액은 492조6천186억원으로, 1년 전보다 4.6% 늘어 2012년 2월(4.6%) 이후 2년 5개월만에 최고의 증가율을 보였다.
기업 대출도 비슷한 추세로 6월말 기업대출 잔액은 679조2천179억원으로 1년 전보다 7.3% 늘었다.
가계 대출의 증가는 공유형 모기지, 취득세 인하 등 부동산 관련 대책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기업 대출은 중소기업 대출 독려 등 정부의 입김이 적잖이 작용했다는 게 금융권의 일반적인 분석이다.
이에 따라 향후 초래될 부실 가능성에 대한 경고의 목소리도 나온다.
서병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국내 은행의 보수적 자금운용 관행과 개선과제’ 보고서에서 과거 경험으로 볼 때 대출자산 증가율이 지나치면 부동산 가격 폭등, 가계부채 급증 등 각종 부작용을 초래했다고 경고했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