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17조8천185억원 규모의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했다.
올해 15조9천906억원대비 1조8천279억원(11.4%) 증가한 규모로 건전재정, 북동부 경제살리기, 사회간접자본(SOC), 안전 등의 분야에 집중됐다.
경기도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5년도 경기도 예산안’을 지난 7일 발표했다.
내년도 예산안 가운데 일반회계는 올해대비 1조5천756억원(12.2%) 증가한 14조5천48억원, 특별회계는 2천523억원(8.2%) 증가한 3조3천137억원이다.
일반회계 세입분야를 살펴보면 내년도 지방세 추계액은 7조6천577억원으로 주택 거래 회복과 지방소비세율 인상에 따라 올해보다 1조758억원이 증가할 전망이다.
지방교부세와 국고보조금 등 의존재원은 복지와 광역철도, 생태하천 복원 등에 대한 국비 지원이 늘면서 올해보다 8천464억원이 증가한 5조9천257억원에 이른다.
세출분야 예산은 공무원 인건비 등 행정운영경비 7천850억원, 기타회계 전출금 등 재무활동비 7천720억원, 정책사업비 12조9천487억원을 편성했다.
도가 쓸 수 있는 가용재원인 자체사업은 올해 4천798억원보다 2천995억원이 늘었다.
내년도 예산은 건전재정을 최우선 조건으로 하고, 남은 재정력은 북동부 경제살리기, SOC, 안전에 집중했다고 도는 설명했다.
도는 우선 그동안 재정악화로 시·군과 도교육청 등에 지급하지 못한 법정경비 3천40억원을 모두 담았다.
시·군 재정보전금 1천669억원, 교육청에 지급할 지방교육세와 교육재정부담금 643억원, 상생발전기금 728억원 등이다.
이에 따라 도는 2013년 8월 재정위기 선언 당시 시·군과 도교육청에 지급하지 못한 법정경비 1조500억원을 모두 지급하게 됐다.
어려운 경제여건을 고려해 경제분야에 전년대비 51.7% 증가한 1천494억원을, 긴축재정으로 예산을 축소했던 문화체육관광분야에 37.1% 증가한 2천980억원을 투자하는 것도 눈에 띈다.
경기북동부 지역 경제살리기에도 통큰 투자를 한다.
남 지사의 공약이자 ‘넥스트(NEXT) 경기’ 비전의 핵심과제 중 하나인 북부진흥을 위해 매년 500억원 씩 4년간 2천억원 규모의 ‘북동부 특화발전자금’이 신설된다. 이 자금은 북동부지역의 시·군당 최대 100억원의 발전자금이 공모를 통해 지원돼 경제, 일자리, 문화, SOC 등에 집중 투자된다.
사회기반시설 강화를 위해 국도대체우회도로 3호선 상패∼청산, 국지도 39호선 장흥∼광적·가납∼상수, 국지도 98호선 오남∼수동, 지방도 371호선 적성∼두일·설마∼구읍, 지방도 364호선 광암∼마산 등 북부지역 5대 핵심 도로사업에 매년 500억원, 총 2천억원이 추가로 투자된다.
이와 함께 세월호 참사와 판교 테크노밸리 환풍구 추락사고와 같은 재난안전사고로부터 도민의 생명을 지키기위해 재난안전예산이 올해대비 1천123억원 증가한 3천136억원으로 대폭 확대됐다.
황성태 도 기획조정실장은 “그동안 지방세 감소와 복지확대로 위축됐던 도 재정이 안정화되고 있다”며 “민선 6기 경기도의 첫 예산인 내년도 예산안에 북동부 균형발전과 사회기반시설 강화, 안전 등 남경필지사의 도정운영 철학을 반영했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