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의 화성시 숙곡리 일원 광역형 종합장사시설 설립 추진에 인접지역인 수원시 금호동 일부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수원시가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 주관으로 출범하는 갈등관리기구에 거는 기대감을 내비쳤다.
그러나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반대하는 주민 등으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가 수원시의 명확한 입장을 요구하고 있는 것에 반해 시의 이번 발표는 도의 갈등관리기구에 공을 넘기면서 시를 향한 또다른 비난의 전조가 되는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수원시는 17일 오전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주민들이 제기하는 건강과 환경문제에 투명한 진단을 내리고 합리적 대안이 제시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이재준 수원시 제2부시장은 “갈등관리기구를 구성하고 운영해 문제를 해결하자는 수원시의 제안을 경기도와 화성시, 주민공동대책위가 수용했다”며 “기존 화장시설 예정지를 비롯해 갈등관리기구가 쟁점사항을 과학적으로 검증해 문제가 해소되기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날 이 부시장의 입장 발표가 성난 일부 주민들의 요구에는 크게 미치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분란을 더 키운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미혜 비대위 시민대표는 “시가 금호동 주민들의 의견을 단순히 님비현상으로 간주하지 않게된 것 외에 나머지는 아무것도 진전된 것이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도의 갈등조정기구가 모든 것을 다 해결할 것처럼 보이지만 비대위는 여기에서 결정된 것으로 결론을 내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비대위는 지난달 27일 도가 주관해 화성시와 수원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처음으로 열린 주민설명회와 지난달 23일 열린 염태영 시장과의 간담회에서 장사시설 건립과 관련한 수원시의 명확한 찬·반 입장을 요구한 바 있다.
한편 도가 주관하는 갈등관리기구는 수원시 주민대표 5명, 화성시 대표 5명, 갈등조정 전문가 2명 등 모두 12명으로 구성되고 18일 첫 모임이 예정돼 있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