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재난안전본부를 행정 1부지사 직속에서 도지사 직속으로 두는 내용을 담은 조례안을 7일 공포한다.
도는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개정에 따라 재난안전본부 도지사 직속 설치와 소통기획관, 일자리정책관 등 2개국 증설 등을 포함한 조직개편을 7일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앞서 재난안전본부를 행정1부지사에서 도지사 밑으로 변경하는 도 조례 개정안이 상위법 위반 논란에 휘말리면서 해당 내용을 포함한 도 조직개편안도 함께 제동이 걸렸었다.
남경필 지사는 “모두가 이게 될까 했다. 그런데 경기도가 필요성을 강력히 느끼고 추진하니 국가가 바뀌었다”라면서 “아마도 많은 지자체에서 재난안전본부를 도지사 직속으로 하자, 경기도처럼 하자는 분위기가 생길 것이다. 경기도가 대한민국의 스탠더드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라며 이번 조직개편의 의미를 설명했다.
남 지사의 안전 공약이 위법 논란을 넘어 전국으로 확산하는 반전의 초석이 마련된 것이다.
이번 조직개편안에는 현재 20개 실·국 122과의 조직 체계를 21개 실·국 124과로 늘리는 내용도 담겼다.
시행 예정인 도 조직개편안에는 경제실 내 8개 과를 맡을 ‘일자리정책관’(3급)과 도지사 직속의 ‘소통기획관’(3급) 등 2개 국을 신설하고 한시기구인 융복합도시정책관(3급)은 폐지한다.
국(3급) 단위 조직이 한 개 더 늘어나는 셈이다.
과(4급) 단위 조직은 두 개가 추가된다. 사회통합부지사 직속의 ‘연정협력관’과 경제실 내 ‘공정경제과’ 등 2개 과가 신설된다.
도 관계자는 “그동안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재난안전본부의 도지사 직속 설치가 실현된 만큼 신속한 재난대응과 안전한 경기도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