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서 7일 이상 장기 결석한 중학생과 미취학 초·중학생 등이 4천151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8일 경기지방경찰청에 따르면 교육당국과 지방자치단체, 경찰 등은 지난해 12월 인천에서 여자 초등생이 2년간 집에 갇힌 채 굶주림과 폭행 등 학대를 당한 사건을 계기로 장기결석 초등학생에 대한 조사를 벌인데 이어, 장기결석 중학생 등에 대해서도 전수 조사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교육당국이 파악한 장기결석 중학생은 1천519명, 미취학 초등학생은 2천383명, 미취학 중학생은 249명 등 총 4천151명이다.
교육당국은 1차로 지자체(주민센터)와 공동으로 학생들의 소재를 파악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재가 확인되지 않거나 부모의 학대 의심 사례는 경찰에 신고하고 있다.
이날 현재까지 경찰에 접수된 신고는 중학생 등 39명에 대한 것이었고, 36명의 소재가 파악됐다.
36명은 전학 2명, 해외출국 14명, 대안학교 교육 2명, 홈스쿨링 8명, 질병 2명, 복역(교도소 등) 1명, 단순 가출 2명, 대학진학 1명, 입양 1명, 장기위탁 1명, 출석독려 중인 경우 2명 등이다.
나머지 3명에 대해선 아직 소재가 파악되지 않아 경찰이 수사하고 있다.
교육당국은 내달까지 장기결석 중학생 등에 대해 전수 조사를 진행한 뒤 교육부에 실태를 보고할 예정이다.
경찰은 형사·여성청소년·정보·보안과 등으로 구성된 대응점검팀을 구성, 장기결석 중학생 등에 대한 소재 파악 수사에 들어갔다.
경찰 관계자는 “장기결석 중학생 등이 현재 안전한 상황인지 소재 파악이 우선”이라며 “교육당국에서 신고가 접수되면 소재파악 후 부모의 불법사항이 있다면 형사 입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교육당국의 1차 조사가 진행 중인 상황이어서 경찰 신고 건수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