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20~30대 가구소득 증가율 첫‘-’

지난해 월평균 소득 431만원
전년비 0.6%↓… 청년실업 주원인
청·중장년층 소득격차 확대 추세

지난해 20~30대 가구 소득 증가율이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통계청 발표한 가계동향에 따르면 가구주가 39세 이하인 2인 이상 가구의 지난해 월평균 소득은 전년대바 0.6% 감소한 431만6천원으로 집계됐다.

사회 활동을 시작하는 연령대인 20∼30대 가구의 소득이 줄어든 것은 2003년 이 조사가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20∼30대 가구 소득 증가율은 2011년 5.2%, 2012년 2.9%, 2013년 7.4% 등으로 증가하다 2014년 0.7%로 증가율이 주춤하다 지난해 감소로 돌아섰다.

특히 20∼30대 월급쟁이 가구의 지난해 근로소득이 0.8% 줄면서 사업소득·재산소득 등을 포함한 전체 소득 증가율이 마이너스가 됐다.

모든 연령대에서 소득이 줄어든 것은 20∼30대뿐이다.

지난해 40대 가구 월평균 소득은 495만9천원으로 2.8% 늘었고, 50대 가구는 505만5천원으로 2.0% 증가했다.

60대 이상 가구 소득(300만4천원)은 6.8%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청년층과 중장년층 가구의 소득 격차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셈이다.

20∼30대 가계소득이 뒷걸음질친 원인은 청년실업이 가장 먼저 꼽힌다.

지난해 청년 실업률은 9.2%로,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그나마 취업을 한다 해도 비정규직 일자리를 잡거나 생계형 창업을 하는 등 고용의 질이 악화되는 상황이어서 소득 수준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주머니 사정이 나빠진 20∼30대 가구는 소득 감소 폭보다 지출을 더 많이 줄였다.

지난해 가구주가 39세 이하인 가구의 월평균 가계지출은 335만9천원으로 전년보다 0.9% 감소했다.

20∼30대 가구의 지출이 줄어든 것 역시 가계동향 조사가 시작된 2003년 이후 처음이다.

/이상훈기자 lsh@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