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지원사업 확대
경기도교육청은 26일 다문화가정 학생 수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공교육 진입을 위해 다문화가정 자녀 지원사업을 확대해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다.
주요사업은 다문화예비학교, 다문화특별학급, 중도입국자녀 한국어교실, 다문화중점학교, 다문화감수성교육 프로그램, 위탁형 다문화대안학교, 진로직업교육, 다문화유치원, 다문화연구학교 등이다.
특히 다문화예비학교는 학교밖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도교육청의 특색사업으로, 학적이 불분명하거나 한국어 사용이 서툴러 학교에 편·입학하기 어려운 경우 한국어 및 학교적응 교육을 하는 일종의 ‘공교육 진입 전 과정’을 말한다.
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초교 3곳, 중학 26곳 등 29개교 내 유효교실을 활용해 이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를 위해 3천여명으로 추산되는 학교밖 다문화가정 자녀 가운데 270명을 찾아냈으며 현재도 120명이 다문화예비학교에 재학 중이다.
다문화예비학교를 수료하면 다문화학력심의위원회를 거쳐 학적을 부여한다.
지난해 6월부터 학력 심의를 거쳐 공교육에 편·입학한 학생은 모두 87명이고, 올해도 12명이 오는 28일 예정된 심의를 기다리고 있다.
다문화학력 심의는 학교에 입학, 전학, 편·입학이 거부된 학령기 청소년(만 13∼18세)이 다문화예비학교를 수료하고 심의를 통과하면 학력을 인정해 주는 제도다.
도교육청은 예비학교 재학생들에게 교재비, 프로그램운영비, 한국어·이중언어 강사 인건비 등을 지원한다.
다문화특별학급은 초기 학교생활 적응을 위해 29개교에서 운영하는 공교육 틀 내 프로그램이다.
중도입국자녀 한국어교실도 한국어 능력과 문화 이해를 돕고자 100개교에서 운영한다.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학업 중단을 막고 공교육 복귀를 지원하고자 운영하는 위탁형 다문화 대안학교도 7곳이 있다.
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최승천 장학관은 “다문화가정 학생 수가 매년 20% 가까이 증가해 체계적인 지원과 대책이 필요하다”며 “다문화 시대에 차별 없는 학습권 보장과 사회 통합을 위해 더 많은 다문화가정의 자녀가 공교육에 진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도내 다문화가정 학생 수는 지난해 4월 기준 1만8천876명으로 전체 학생의 1.18%를 차지하고 있으며, 외국에서 태어나 한국에 입국한 중도입국 자녀 수는 2천88명으로 전년보다 15.8% 증가했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