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광복 71주년을 맞아 학교 내 일제강점기 잔재를 청산할 것 입니다.”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10일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학교명에 관한 근거와 유래를 전수조사한 결과 아직도 일제강점기 방위작명법에 따른 학교 이름이 많다”며 “지역의 특성과 역사를 반영한 교육적 의미를 지닌 학교 이름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제강점기 방위작명법이란 식민지 통치 편의를 위해 학교 이름에 동서남북의 방위명을 사용한 것”이라며 “동서남북에는 순서대로 서열도 정해져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광명지역 학교는 광명남초, 광명동초, 광명북초, 광명서초 등 도시 이름에 동서남북을 붙여 교명을 지었다. 중고등학교도 광명북중, 광명북고 등 학교 특색보다는 지리·위치 정보가 우선돼있다.
이와 관련 이 교육감은 “광명지역 학교장 협의회를 갔다가 교명을 보고 황당했다. 학교 이름이 장난도 아니고 동서남북이 왜 그렇게 쓰였는지 의아했다”며 교명 전수조사에 착수한 계기를 설명했다.
도교육청은 학교명 중 동·서·남·북 방위명과 중앙·제일 등과 같은 단어가 일제강점기 잔재인 것으로 보고 교명 변경 캠페인을 벌일 방침이다.
이재정 교육감은 “교명변경 작업은 2019년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새로운 학교를 만들어 가는 과제다. 학교 구성원 의견을 수렴해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도울 방침”이라며 “일상적 관행에 대한 반성적 성찰 차원에서 애국조회와 훈치사 등의 문화도 고치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교육청이 최근 교명을 전수조사한 결과를 보면 방위명을 교명에 사용한 학교는 모두 104곳으로, 나머지 대다수 학교는 행정동명과 마을명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교육적 의미를 부여한 곳은 548교, 순우리말로 교명을 지은 곳은 138교에 그쳤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