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갤노트7 악몽 원인은 ‘배터리 자체 결함’

2종류 배터리서 소손현상 확인
고동진 사장 “책임 통감한다”
8가지 안전검사 프로세스 도입

발화 사고 논란 속에 단종된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갤노트7)에서 배터리 결함이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사장)은 23일 오전 10시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갤럭시노트7 발화 사고가 배터리 자체 결함에 의한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고 사장은 “제품 20만대, 배터리 3만개로 대규모 충·방전 시험을 해 ‘소손’(불에 타서 부서짐) 현상을 재현했다”면서 “갤럭시노트7에 채용된 두 종류의 배터리에서 각기 다른 원인으로 소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해외 검증기관 3곳에서도 같은 결론이 나왔다”고 밝혔다.

이어 “배터리 설계와 제조 공정상의 문제점을 제품 출시 전에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며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을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확인했지만, 배터리 크기와 용량 등 구체적인 사양을 주문한 입장에서 모든 잘못을 협력업체에 돌리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제2의 갤럭시노트7 단종 사태’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배터리 안전검사 강화와 제품 생산 전문성과 평가 객관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 등스마트폰의 안전성을 크게 높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안전·내구성 검사, 외관 검사, 엑스레이(X-ray) 검사, 해체 검사, 누액 감지(TVOC) 검사, 상온의 전압 변화(ΔOCV) 측정 검사, 충·방전 검사, 제품 출고 전 소비자의 사용 환경을 가정한 가속 시험 등 8가지 배터리 검사 프로세스를 도입했다.

또 스마트폰 내부 배터리 공간을 여유 있게 확보하고, 배터리 외부 충격 최소화 장치 추가 적용, 배터리 안전 설계 기준 강화 등과 함께 충전 온도와 속도, 전류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강화했다.

/이상훈기자 lsh@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