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2.6℃
  • 구름많음강릉 21.7℃
  • 구름많음서울 22.8℃
  • 박무대전 22.4℃
  • 흐림대구 25.3℃
  • 구름많음울산 23.5℃
  • 박무광주 23.3℃
  • 박무부산 21.6℃
  • 흐림고창 22.9℃
  • 제주 25.5℃
  • 구름조금강화 21.5℃
  • 구름많음보은 21.5℃
  • 구름조금금산 23.1℃
  • 구름많음강진군 23.5℃
  • 구름많음경주시 24.6℃
  • 흐림거제 22.5℃
기상청 제공

“하루 330원… 경기도 참전명예수당 반납하겠다”

‘참전유공자 모두’ 대상자 포함
道, 7만여 명에 수당 일괄지급
목숨 바친 대가 고작 ‘월 1만원’
전북·경북과 함께 전국 최저치

도내 시·군별 지원액도 제각각
“적어도 월 5만원 줬으면…”


“말로는 숭고하신 참전용사라더니 하루에 330원만 쓰라는 겁니까. 월 1만 원, 생색만 내는 경기도 참전명예수당 차라리 반납하겠습니다.”

1952년 3월 공군 소속으로 6·25전쟁에 참전했던 강모(86·화성) 씨는 지난해까지만해도 ‘참전용사’로서 매월 29만 원을 지급받아왔다. 국가보훈처에서 지급하는 22만 원과 화성시에서 지원하는 7만 원을 합쳐서다. 그동안 경기도는 6·25전쟁과 월남전 참전유공자 중 65세 이하인 유공자, 그리고 무공·상이·고엽제 등 보훈처에서 수당을 별도로 받는 유공자에게는 참전명예수당을 지급하지 않았다. 강 씨는 보훈처에서 수당을 받았기에 도로부터 별도의 수당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지난 9일 도가 참전명예수당 대상을 ‘참전유공자 모두’로 확대하면서 강 씨는 도가 제공하는 참전명예수당 대상자에 포함됐다. 강 씨와 같은 케이스가 도내 2만여 명에 달한다.

이에 따라 강 씨는 참전용사로서 매월 총 30만 원을 지급받게 됐다. 도가 참전명예수당으로 지급한 것이 고작 ‘월 1만 원’이었다.

강 씨는 “전쟁의 아픔과 노고를 위로한다면서 월 1만 원을 주는 것이 정말 위로라고 생각하느냐”며 “참전유공자가 목숨을 바친 대가로 도에서 받는 게 연 12만 원, 월 1만 원, 하루 330원 꼴”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기초 지자체인 화성시도 7만 원(80세 이상 기준)을 주는데 광역 지자체인 경기도는 적어도 월 5만 원은 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2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3일까지 참전용사 7만여 명에게 참전명예수당을 12만 원씩 일괄 지급했다.

수당은 전액 도비로 지원됐고 이에 따른 연간 예산으로는 88억 원이 들어갔다.

자유한국당 박성중(서울 서초을) 의원이 파악한 ‘전국 지자체 참전수당 현황자료(2016년 기준)’를 살펴보면, 전국 17개 시도 중 참전수당을 지급하는 곳은 11곳인데 이때 경기·전북·경북이 1만 원으로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도내 31개 시·군도 지역별 지원조례가 다른 탓에 양평·여주·이천 등은 10만 원을, 군포·시흥·안산 등은 5만 원을 각각 지급하는 상황에서 도 참전명예수당마저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마음 같아선 더 많은 수당을 드리고 싶지만 한정된 예산 안에선 어려움이 있다”면서 “참전용사가 정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가겠다”고 말했다.

/이연우기자 27yw@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