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3.1℃
  • 구름많음강릉 21.9℃
  • 구름조금서울 22.8℃
  • 구름많음대전 23.0℃
  • 구름많음대구 25.7℃
  • 흐림울산 24.2℃
  • 구름많음광주 23.5℃
  • 흐림부산 22.5℃
  • 흐림고창 22.8℃
  • 제주 25.1℃
  • 구름조금강화 21.7℃
  • 구름많음보은 21.8℃
  • 구름많음금산 23.3℃
  • 흐림강진군 23.6℃
  • 흐림경주시 25.4℃
  • 흐림거제 22.5℃
기상청 제공

농가관리 허술·늑장대처 禍 키웠다

당국, 살충제 검출 달걀 농가 확인
상당수 사용…추가 발견 배제못해
8시간 넘게 일선 현장에 통보 안해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달걀 생산 농가가 잇따라 확인되면서 그동안 축산 농가들의 약품 약품사용에 대한 당국의 관리·감독 체계가 허술했다는 지적과 함께 정부의 늑장 대처가 사태를 키웠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16일 농림축산식품부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전국산란계 사육농가 1천450여 곳 중 243곳을 대상으로 1차 조사 결과 양주와 강원 철원, 전남 나주 등 3개 농가에서 생산된 달걀에서 살충제 성분인 피프로닐과 비페트린이 검출, 달걀에서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사용이 금지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가는 전국 6곳으로 늘었다.

앞서 14일 남양주와 광주시, 전북 순창의 산란계 농장 3곳의 계란에서도 기준치 이내의 피프로닐과 비페트린이 검출됐다.

특히 닭에 기생하는 진드기를 제거하기 위해 상당수 농가들이 여러 종류의 살충제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부의 추가 검사결과에 따라 추가로 더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실제 지난 9일 한국소비자연맹이 낸 보도자료에 따르면 올 4월 열린 ‘유통 달걀 농약 관리방안 토론회’에서 박용호 서울대 교수는 2016년 산란계 사육농가 탐문조사에서 61% 농가가 닭 진드기 감염과 관련해 농약 사용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문제는 살충제 사용 과정에서 축산 농민들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한 채 살충제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농가들은 방제 약품을 상황에 따라 선택해 사용하는 것은 물론 적정 사용량에 대한 지식도 부족해 사용 허가된 살충제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방역 당국은 살충제 사용에 대해 상황에 따라 부정기적으로 교육하고 있었으며, 이번 사태 이후에야 축산 농가를 대상으로 닭 살충제와 관련한 교육에 나서기로 했다.

‘살충제 계란’을 확인하고도 8시간 넘게 일선 현장에 통보하지 않은 정부의 늑장대처도 도마에 올랐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지난 14일 오후 남양주의 산란계 농장인 ‘마리농장’의 계란에서 살충제 성분인 피프로닐이 국제 기준치 0.02㎎/㎏을 초과한 0.0363㎎/㎏인 것을 확인, 농림축산식품부는 보고받은 후 오후 4시 장관 주재로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열고, 오후 11시 40분쯤 피프로닐 검출 내용이 담긴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그러나 이때까지도 경기도와 남양주시에는 해당 사실이 통보되지 않았고, 현장에서는 아무런 조치 없이 마리농장에서는 계란 2만 여개가 출하됐다.

오후 11시 48분에 남양주시에 전자문서를 전달했고 담당자에게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농림부측은 “여러 기관이 모여 대책을 논의, 늦은 시간대 방침이 결정돼 보도자료를 내고 남양주시 등에 공문을 보냈다”며 “취약시간대 방침이 결정돼 어쩔 수 없었다”고 밝혔다.

/이연우기자 27yw@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