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해 ‘2018년도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추진계획’을 수립, 본격 시행한다.
5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16년도의 지역업체의 공공사업 수주 실적은 공사금액 5천759억 원의 71%인 4천90억 원이었고 2017년도 상반기는 54.8%인 2천685억 원을 수주했다.
그러나 민간사업을 포함하면 지난 2016년도 기준 약 12조 원의 공사금액 중에 23.8%인 2조8천560억 원을 수주하는데 그쳤다.
통계청의 분석에서도 서울 72.2%(21조1천억 원), 부산 53.2%(6조3천540억 원), 대구 2.5%(3조3천338억 원) 등으로 나타나 7대 대도시 중 인천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는 올해부터 지역에서 발주하는 공사는 지역업체의 원도급이 49% 이상, 하도급은 60% 이상 되도록 참여 확대를 추진하고 민간 건설사업 분야에 대해서는 특단의 대책을 강구해 추진할 방침이다.
시는 건축허가 절차에 차별화된 서비스로 고객관리와 투명한 세일즈를 단계별 시행으로 건축허가를 받기 위한 절차를 설계부터 준공까지 7단계로 나눠 지역업체 수주와 지역 자재 사용에 대해 적극적인 세일즈를 벌일 계획이다.
또 인허가 비리 유착 등을 사전 차단하기 위해 특정업체나 특정자재 지정 세일즈 금지, 건축주가 지역업체 중 선정토록 전체 자료 제공 등 투명한 절차를 통해 근원적인 방지 대책을 강구한다.
이 외에도 특별행정서비스 대상 선정, 각종 전람회와 세미나 등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이벤트 추진으로 새로운 행정시스템 구축을 통해 지역업체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지역 건설사업에 지역의 인력과 생산되는 자재, 장비 등을 우선 사용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협조에 나서겠다”며 “건축 인허가기관인 경제청, 군·구 등의 협조로 새로운 세일즈 팀과 상담 전문가 제도 등을 마련해 운용해 지역업체 수주율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