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왜 인천대가 이자 냈죠?”

학교측 차입금 이자 자체 부담
총학 “독단적으로 납부” 반발
총동문회 등 대책위 구성 제안

인천대학교가 학교 운영비로 사용하기 위해 은행에서 빌린 1천500억 원에 대한 이자를 자체 회계로 부담하자 학생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4일 인천대 총학생회에 따르면 총학은 ‘인천대 재정 정상화 대책위원회(가칭)’를 구성해 차입금 이자 문제에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총학은 “대학 본부는 이사회 승인도 거치지 않고 멋대로 차입금 이자 4억500만 원을 내는 등 독단적인 행태를 보였다”며 인천대 교수회·총동문회·노동조합, 전국대학노동조합 인천대지부 등에 대책위 구성을 제안했다.

이들은 “대학 구성원들이 참여해 안건을 논의하는 대학발전협의회에서 ‘학교가 차입금 이자를 부담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대학 본부는 일방적으로 이자를 냈다”며 “이자 부담 주체를 빨리 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인천대는 전날 학교 법인 회계에서 은행 차입금 1천500억 원에 대한 올해 4월분 이자 4억500만 원을 상환했다.

인천시와 교육부는 앞서 지난 2013년 1월 시립대에서 국립대로 전환한 인천대에 2013∼2017년 매년 300억원씩 운영비 1천500억 원을 지원하는 내용의 협약을 맺었다.

또 이와는 별개로 인천대가 대학 운영에 필요한 비용 1천500억 원을 은행에서 빌리면 시가 2018∼2022년까지 5년간 해당 원금을 상환키로 했다.

그러나 협약에는 차입금 1천500억 원에 대한 이자를 누가 부담할지가 빠져 있어 교육부와 시가 서로 책임을 미루고 있다.

교육부는 시가 재정난을 회복한 이후 모든 이자를 상환한다는 조건으로 지난 2013년부터 올해 2월까지의 차입금 이자 98억 원을 지원했다.

인천대 총학 관계자는 “시, 교육부, 대학본부 모두 대학 차입금 이자 문제를 해결할 마음이 없다고 판단해 대책위 구성에 나섰다”며 “시는 약속했던 지원금과 이자를 납부하는 협상을 즉각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규기자 ljk@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