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평화모드에 들어가면 인천이 최대의 수혜지라는 기대감이 반영되며 중앙정치와는 궤를 달리하는 양상이다.
25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먼저 자유한국당 유정복 시장은 시 정책으로 국내 첫 통일센터 인천 유치 등을 추진하고 있다.
접경지역인 인천이 각종 제한이 많지만 정전 등으로 가장 경쟁력 있는 도시로 탈바꿈할 수 있는 상황에서 통일기반 조성사업을 강력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한강 하구 주변의 관광·문화사업 ▲서해5도 평화 남북 공동어로 신설 ▲평화 수역 인공어초 설치 등 성육장 조성 ▲수산물 공동 생산·판매를 위한 기반시설 조성 ▲수산자원 개발사업 계획 등을 내세우고 있다.
유 시장은 “지난 4년 간 철저하게 대북사업을 준비한 만큼 통일시대를 선도하는 인천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후보도 남북정상회담을 문재인 정부가 성사시킨 만큼 ‘친문’ 시장 후보임을 내세우며 통일정책을 강조하고 있다.
박 후보는 문 정부와 호흡을 맞춰 인천 관련 대북사업과 각종 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려면 여당 시장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헌재 박 후보는 서해평화지대 조성을 중심 공약으로 제시했다.
인천~개성~해주를 잇는 ‘황금의 평화 삼각축(Golden Peace Triangle)’을 중심으로 황해권 경제블록을 구축한다는 내용이다.
이를 기반으로 ▲경제협력특구 지정을 통한 한반도 해양평화공원 조성 ▲남북공동어로구역 및 해상 파시 추진 ▲남북문화 예술교류 센터 설립을 통한 공동 문화예술제 정례화 등도 제시했다.
박 후보는 “남북 평화의 전진기지인 인천이 평화를 이어가는 ‘인천평화협력시대’를 열겠다”고 주장했다.
정의당 김응호 예비후보는 하늘길과 바닷길 그리고 땅 길을 여는 평화수도 인천을 실현하겠다는 각오다.
김 예비후보는 ▲대북사업 관련 전담부서 확대 ▲해주~개성~인천을 잇는 해주경제특구 건설 ▲남북의 물류네트워크 구축 ▲삼각 경제 협력 벨트 인천과 북한 측의 공항과 항만을 연결하는 동북아 중심의 공항·항만 기반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이번 선거는 평화와 통일 표심이 각 후보에게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특히 인천~개성~해주 벨트 연결 등 상당수 공약이 중복 되면서 남북교류 공약에서는 후보간 차이를 찾기 어렵다”고 평가했다./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