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3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불타고 찢긴 돈 2조원 폐기 새 화폐 대체 비용 324억원

불에 타거나 장판 밑에 눌려 폐기한 돈이 올 상반기에만 2조원을 넘었다.

폐기한 돈을 새 화폐로 대체하는 데 드는 비용은 32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2018년 상반기 중 손상 화폐 폐기 및 교환규모’를 보면 올해 상반기 한은이 폐기한 손상 화폐는 2조214억원, 장 수로는 3억2천200만장이었다.

금액으로는 전 분기(2조616억원)보다 402억원(1.9%) 감소했으나 장수(2억9천500만장)는 2천700만장(9.2%) 증가했다.

폐기한 손상 화폐를 새 화폐로 대체하려면 324억원이 드는 것으로 파악됐다.

손상 화폐 중 지폐는 2조203억원(3억장)으로 집계됐다. 1만원권 지폐가 1조5천808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5만원권(2천355억원), 1천원권(1천221억원), 5천원권(819억원) 순이었다. 동전은 11억2천만원어치(2천만개) 폐기됐다.

한은에서 교환된 손상 화폐는 총 10억2천800만원이었다. 전 분기(11억6천200만원)보다 1억3천400만원(11.5%) 줄었다. 손상 사유로는 습기나 장판 밑 눌림 등에 의한 경우가 교환액의 53.2%에 달해 가장 많았다. 불에 탄 경우는 34.2%, 칼질 등에 의해 조각난 경우 4.9%로 조사됐다.

한은은 “현금을 장판 밑이나 항아리, 땅속, 전자레인지 등에 보관하거나 현금을 보관한 옷을 세탁하는 등 잘못된 화폐 사용 습관 때문에 화폐가 손상돼 교환한 경우가 76.1%(교환 건수 기준)에 달한다”며 “일부 국민의 화폐 사용 습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주철기자 jc38@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