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이덕일의 역사를 말하다] 김수로왕은 어디에서 왔나?

다시 보는 가야사②

 

*아주 구체적인 가락국 건국 사화

 

『삼국유사』 「가락국기」와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은 모두 김수로왕이 서기 42년 가야를 건국했다고 말하고 있다. 먼저 『삼국유사』 「가락국기」는 그 내용이 아주 구체적인데, 핵심을 요약하면 이런 내용이다.

 

개벽 이후 가야지역에는 나라의 이름과 군신의 칭호가 없었다. 다만 아도간·여도간·피도간·오도간·유수간·유천간·신천간·오천간·신귀간이라고 불리는 9간(干)이 7만5천여 명의 백성들을 통솔하고 있었다. 후한(後漢) 세조(世祖) 광무제(光武帝) 건무(建武) 18년(서기 42) 임인 3월 계욕일(稧浴日)에 북쪽 구지봉(龜旨峯)에서 수상한 소리가 들렸다. 구간과 2,3백여 명의 백성이 모였는데 모습은 보이지 않고 사람의 소리 같은 것이 들였다.

“황천(皇天)께서 내게 이곳에 가서 새로 나라를 세워 임금이 되라고 해서 이곳에 내려왔으니 너희들은 산봉우리 꼭대기의 흙을 파면서 노래를 불러라.”

그러면서 부를 노래를 직접 가르쳐 주었다.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드러내어라, 드러내지 않으면 구워먹겠다”

이 노래를 부르면서 춤을 추면 대왕을 맞이하면서 기뻐 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구간 등이 이 말처럼 모두 기뻐하면서 노래하고 춤추다가 하늘을 우러러보니 자줏빛 줄이 하늘에서 내려와 땅에 닿았다. 그 줄이 내려온 곳을 찾아가니 붉은 보자기에 싸인 금합(金盒)이 있었는데, 그 안에 해처럼 빛나는 금란(金卵) 여섯 개가 있었다. 여러 사람이 놀라고 기뻐하면서 백 번을 절하고 다시 보자기에 싸서 아도간(我刀干)의 집으로 돌아와 탑(榻) 위에 두고 무리들은 흩어졌다. 열이틀이 지난 다음날 아침에 사람들이 다시 모여서 금합을 열어보니 알 여섯 개가 어린 아이로 변해 있었다. 어린아이들은 십 수 일이 지나자 키가 구척으로 자랐다. 그날 보름날에 왕위에 올랐는데, 세상에 처음 나타났다고 해서 이름을 수로(首露)라고 했다. 나라 이름은 대가락(大駕洛), 또 가야국(伽倻國)이라고도 했다. 이것이 여섯 가야국 중의 하나이고 나머지 다섯 사람도 각자 다섯 가야의 임금이 되었다는 것이다.

 

*처음 나타난 날과 건국일까지 기록

 

 

『삼국유사』 「가락국기」가 묘사하는 가락국 건국사화는 아주 구체적이다. 고대 국가의 건국사화 중에서 시조가 처음 나타난 날과 즉위한 날까지 이토록 구체적으로 묘사한 사료는 찾기 힘들다. 서기 42년 3월 계욕일(稧浴日)이라고 달과 날까지 말하고 있다. 계욕일은 상사일(上巳日)이라고도 하는데, 60갑자 중에서 3월에 첫 번째 사일(巳日)이 들어가는 날을 뜻한다. 3월 상사일에 등장해 3월 보름에 즉위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구체적 사료에 대해 일제 식민사관을 추종하는 남한 강단사학자들은 모두 부정한다. 국사편찬위원회가 막대한 국민 세금으로 만든 『한국사 』 7권이 가야인데, “수로가 후한 건무 18년(42)에 천강하였다는 것도 그 연대를 신빙할 근거가 부족하고…”라고 부인하고 있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서 공통적으로 말하는 서기 42년 건국 사실을 부정하는 근거라고는 자신들이 ‘믿지 못하겠다’는 억지뿐이다. 같은 책은 “다만 『삼국지』 위지 한전(韓傳)을 통하여 3세기 중엽에는 연맹체를 형성한 상태에 있었다고 추정할 정도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가야는 실질적으로 3세기에 건국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야가 서기 1세기에 존재했다는 증거는 차고 넘친다. 『삼국사기』 탈해이사금 21년(서기 77)조는 “(신라의) 아찬 길문이 황산진(黃山津) 입구에서 가야 군사와 싸워 1천여 명의 목을 베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신라는 서기 87년 가야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가소성(加召城)과 마두성(馬頭城)을 쌓았고, 96년에는 파사이사금이 용사(勇士) 5천을 이끌고 가야를 격퇴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한국사 』 7권은 “우선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탈해이사금 21년(77)부터 지마이사금 5년(116)까지에 걸쳐 신라·가야 사이에 전쟁 기사가 나온다. 그 관계 기사에서 편년은 그대로 믿을 수 없으나…”라고 무조건 믿지 못하겠다고 우기고 있다. 일본인 식민사학자들이 임나일본부설을 사실이라고 우기기 위해서 만든 ‘『삼국사기』 불신론’을 추종하는 것이다.

 

 

*북한 학계는 어떻게 보나?

 

1960년대 초반에 일제 식민사학을 모두 폐기시킨 북한 역사학계는 남한 강단사학과 달리 본다. 북한 학계는 ‘하늘’의 지시로 가락땅에 내려왔다는 김수로왕에 대해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고구려나 부여, 신라의 건국설화에 대한 분석에 의하면 ‘하늘’이란 ‘북쪽’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설화는 북쪽에서 내려온 세력이 이미 이곳에 있던 토착세력인 9한과 결탁하여 나라를 세운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조희승, 『북한학계의 가야사 연구』{2020, 말})”

 

북한 학계는 금관가야를 북쪽 세력, 곧 ‘고조선 유민들이 남하해서 세운 나라’라고 해석하고 있다. 1세기에 김수로왕을 대표로 하는 고조선 유민들이 북쪽에서 내려와서 현지 세력인 9한과 결탁해서 세운 나라가 가락국이라는 북한 학계의 설명과 1세기 가야건국설은 거짓이며 3세기 이후에 건국했다는 남한 학계 중에 어느 것이 역사학 방법론에 맞는지는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다.

북한학계는 김수로 세력의 남하를 나무곽무덤을 가지고 설명하고 있다. 나무곽은 목곽(木槨) 또는 덧널이라고도 하는데, 시신을 넣은 관(棺:널)을 둘러싼 덧널〔木槨:목곽〕을 뜻한다. 관은 이동이 가능하지만 나무곽은 이동이 불가능한 유구(遺構)다. 가야 지역에는 서기전 2세기경까지는 나무곽 무덤이 존재하지 않다가 서기전 1세기경에 갑자기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가야 전 지역에서 나타나는 무덤 형식이 아니라 김해 대성동과 칠산동, 례안리 등 김해를 중심으로 한 일부 지역과 부산 복천동 등 일부지역에서 가락국의 왕족을 비롯한 지배층이 쓴 무덤형식이라는 것이다. 요컨대 나무곽무덤은 가야묘제에 시원을 둔 것이 아닌데, 기원을 전후한 시기에 갑자기 나타난 무덤으로서 ‘하늘’에서 내려왔다는 김수로세력과 결부되어 설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도 “그(김유신) 12세 조상 김수로는 어디 사람인지 알 수 없”다고 말하고 있는데, 그 ‘어디’가 북쪽으로서 나무곽무덤은 고조선에 계보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고조선 집단의 일부가 변진-가야지역으로 이동 정착하게 되었다는 논리다.

고조선 묘제는 돌무지무덤, 돌관무덤, 움무덤(토광나무곽)인데, 옛 고조선 강역이었던 중국 요녕성 심양시 정기와자 고분 등지에서 이른 시기의 나무곽 무덤이 있으며, 옛 고조선 지역이었던 평양, 황해도 등 여러 지역에도 나무곽무덤이 적지 않게 분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김해 대성동 무덤떼에서 청동단지를 비롯한 ‘북방유물’들이 출토되는 것도 이들이 북방에서 이주했음을 말해준다는 것이다.

『삼국사기』 「신라 혁거세 본기」에는 서기 57년 박혁거세가 등장하기 전에 “이보다 앞서 조선 유민들이 산곡 사이에 나뉘어 살아 육촌을 이루었다”고 말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조선이란 물론 고조선을 뜻한다. 신라지역에도 고조선 유민들이 살고 있었다는 뜻이다. 북한학계는 나무곽무덤을 기본 무덤풍습으로 갖고 있던 김수로세력, 즉 고조선 유민들이 남쪽으로 내려와 토착세력과 융합해서 가락국을 건국했고 1세기 중엽에 6가야의 맹주가 되었다는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