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체를 고온·고압으로 처리해 재활용하는 랜더링 업계가 경기도에서 추진하는 동물자원순환센터 건립에 강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9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총 480억원을 들여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구제역, 조류독감(AI) 등으로 사체를 연간 10만톤 이상 처리할 수 있는 동물자원순환센터 건립사업을 추진 중이다.
애초 해당 사업은 지난해 말 사업부지를 선정할 예정이었지만 시·군 중 유치 의사를 밝힌 곳이 없는 데다, 지역 주민들이 이를 혐오 시설로 판단해 반대하면서 난항을 겪고 있다. 올해 상반기 양평군에서 주민설명회를 열었으나 지역 주민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으며, 현재는 흐지부지된 상태다.
폐지방‧뼈 등 예방 살처분 폐사 가축을 재활용 처리하는 민간 랜더링(고열처리 후 퇴비화) 업계에서도 동물자원순환센터 건립을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
민간 랜더링 공장이 감염축을 처리하기에 부족한 수준이라고 볼 수 없으며, 오히려 이미 시설이 많아 과포화 상황인데다 70% 수준의 낮은 가동률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재생유지공업협동조합에 따르면 국내 랜더링 공장은 지나친 경쟁으로 인해 구조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2016년 동반성장위원회로부터 자율적 M&A를 권고받았으며, 도내 4개 공장 중 1곳은 운영이 어려워 휴업 중이다.
한국생명환경자원연구원의 ‘농가 발생 폐사축 및 국가재난 시 긴급하게 발생하는 폐사축 처리 방안에 관한 연구용역’ 의견서에서는 전국 렌더링 시설 23개 곳이 정상 운영되고 있는 시점에서 동물자원 순환센터가 어떤 방식으로 개발되더라도 적절하지 못한 사업이라고 판단하기도 했다.
민간 랜더링 업계는 세금을 들여 추가로 센터를 건립하기보다 민간 업체를 체계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최근 AI, 구제역, ASF 등의 가축 전염병이 늘어나면서 질병으로 죽은 가축을 랜더링 업체에 맡길 때 이동에 따른 방역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국가 비상체계 시스템을 구축해 감염 가축은 현장처리하고, 예방살처분은 현장 처리 후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식 랜더링 시설과 운송 차량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신익철 한국재생유지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도내에 휴업 중인 공장을 포함해 4곳의 공장이 있지만 2개의 랜더링 시설밖에 없다고 할 만큼 기초적인 조사도 하지 않고 동물자원순환센터를 추진했다”라면서 “공장 가동률이 70%에 불과할 만큼 시설이 남아돌고 있는데, 추가로 시설을 짓기보다 민간을 지원하고 국가재난 시 비상체계를 갖추는 게 효율적”이라고 지적했다.
경기도청 관계자는 “동물자원순환센터는 부지 선정이 되지 않아 추가로 진행된 건 없는 상황”이라면서 “(민간 랜더링업체의 우려에 대해서는)완전히 분야가 틀리기 때문에 민간이 하는 영역까지 침범하겠다는 생각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편지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