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에 파업한 지 반년도 지나지 않아 또다시 파업을 하겠다고 하니 걱정부터 앞섭니다." "일주일만 운송이 막혀도 컨테이너 10개 이상분을 수출하지 못해 피해가 수천만 원에 달하게 돼 수출을 접어야 할 판입니다."
화물연대 파업 예고에 지난 6월 파업 때 심각한 타격을 입었던 수출 중소기업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고물가·고환율·고금리 등 '3고(高)'로 인해 경제 현장의 위기감은 훨씬 커졌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해외 바이어와 합의한 납기일을 맞추지 못하면 위약금을 물거나 재계약이 끊길 우려가 크다. 일반적으로 선적이 안 돼 물어내야 하는 지체보상금 역시 오롯이 납품 기업의 몫이다.
또한 상습적인 물류파업으로 납기일을 맞추지 못하는 사태가 반복되면 한국 수출기업의 대외 신인도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안산의 한 수출기업 관계자는 "실제 몇몇 해외 바이어는 '이런 식으로 납기일을 못 맞추면 기존 수출계약도 끊겠다'고 했다"라며 "수출 지연으로 인한 금액적인 손실보다 해외 바이어와의 신뢰가 깨지는 게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더 위기다"라고 전했다.
그동안 안전운임제 지속 시행을 놓고 화물연대와 화주, 운송사업자 간 의견은 첨예하게 대립해왔다. 화물연대는 제도가 시행될 때부터 일몰제 폐지를 요구하는 한편, 화주 측은 안전운임제가 화주에게 일방적인 부담으로 작용한다며 예정대로 일몰하고 합리적인 새 제도를 만들자는 입장이다.
화물연대는 지난 6월에도 8일간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적용 영역 확대를 요구하는 총파업을 진행했다. 당시 국토부와 화물연대본부가 '안전운임제 지속 논의'에 합의하면서 파업은 일단락됐지만 양측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한 미봉책이었던 만큼 추가 파업의 불씨를 남겼다. 이후 추가로 결론을 내지 못한 채 일몰기한에 다다르자 화물연대가 다시 파업에 나서는 것이다.
당시 화물연대가 벌인 파업으로 산업계 전반으로 1조 6000억 원 가량의 피해를 입었다. 이에 산업계는 재고 물량을 최소화하는 등 대비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현대자동차는 차량 출고에 차질이 없도록 직원을 투입해 공장에서 출고 지점까지 차량을 직접 운전해 옮기는 '로드 탁송'을 다시 검토하고 있다.
특히 한국무역협회는 화물연대의 무기한 집단운송거부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물류 비상대책반’을 운영한다. 비상대책반은 화물연대 동향 및 피해상황 모니터링, 피해 신고센터 운영, 대정부 건의 등의 역할을 하며 우리 무역업계의 수출입 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정만기 무역협회 부회장이 비상대책반 반장을 맡는다.
무역협회는 현장 애로 및 피해 사례를 수집하기 위해 무역협회 물류서비스실, 12개 국내지부, 지역 화주물류협의회(울산·부산·인천·광주전남) 등을 비롯해 무역협회의 물류 컨설팅 서비스(RADIS) 27개 협력사 등까지 총동원한다는 계획이다.
정만기 비상대책반장은 “업계 애로와 피해는 국토부, 산업부, 해수부 등 정부 부처와 실시간 공유하며 공동 대응에 나설 계획”이라며 “화주들께서 이번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로 인한 피해와 애로를 비상대책반에 적극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피해 신고는 무역협회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한 온라인 접수, 혹은 유선으로 접수할 수 있다.
[ 경기신문 = 백성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