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5 (수)

  • 맑음동두천 -0.7℃
  • 맑음강릉 1.9℃
  • 맑음서울 -0.9℃
  • 맑음대전 1.2℃
  • 맑음대구 1.6℃
  • 맑음울산 2.1℃
  • 구름많음광주 1.3℃
  • 맑음부산 4.1℃
  • 흐림고창 -1.1℃
  • 흐림제주 4.4℃
  • 맑음강화 -1.8℃
  • 맑음보은 -0.4℃
  • 맑음금산 0.4℃
  • 구름많음강진군 1.8℃
  • 맑음경주시 2.8℃
  • 맑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교육특집] 下. “교육토대 다져 ‘좋은 고향’ 만들 것”…부천교육지원청의 교육복지

복지사로 성장한 교육복지 대상학생
복지가 ‘힘’ 되려면 공감대부터 얻어야
“교육복지는 교육효과 늘리는 토대”

 

아무도 돌보지 않는 소외된 아이의 인생에 치유의 등불을 비춰주는 정책이 있다. 바로 경기도교육청의 ‘교육복지사업’이다. 해당 사업은 지난 2009년부터 도내 모든 교육지원청에서 운영되고 있다. 경기신문은 저소득층, 한부모가정 등 학교생활이 어려운 위기학생을 발굴해 알맞은 복지서비스를 연결해주는 ‘위기학생의 나침반’, 경기도교육청의 교육복지사업을 톺아본다. [편집자 주]

 

 

부천교육지원청 교육복지 담당자는 사업을 펼칠 때 예산과 프로그램도 중요하지만 그 과정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가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교육복지 시스템의 최종 목표인 ‘자립’을 ‘주변 사람에게 잘 의존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학생을 둘러싼 지지관계가 없으면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학생이 복합적인 어려움을 겪을 때는 통상적으로 보호자와 학생 간의 관계가 어렵거나 가정의 기능이 약화돼 있을 때가 많다.

 

때문에 교육복지 담당자는 학생이 교육복지 프로그램 시 만나는 교사, 복지사, 멘토, 또래, 마을주민 등과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게 했다.

 

개인의 학습경험보다는 사제동행, 동아리활동, 멘토링, 마을교육과정 등 관계에서 느끼는 안정감이나 연대감을 우선시해 사업을 펼쳤다.

 

그 결과 연대감을 경험했던 학생이 자라 다시 후배들을 위해 교육복지 현장과 지역사회로 돌아와 주기도 했다.

 

◇ 복지사로 성장한 교육복지 대상학생

 

장애가 있는 A 양은 가정 상황이 좋지 않았지만 내색하지 않고 복지실에서 친구들과 잘 어울리며 교육복지실 도우미 활동을 시작했다.

 

마음이 맞는 또래 친구들과 복지실을 꾸미거나 이벤트를 기획해서 진행하고 더 많은 친구들이 복지실에서 즐겁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활동했다.

 

A 양은 행사에 참여하는 친구들과 교사의 칭찬에 자존감을 올렸고 복지사라는 꿈을 갖게 됐다.

 

그녀는 고등학교 졸업 후 사회복지를 전공해 첫 직장으로 종합사회복지관에 들어갔고 자신을 돌봐줬던 교육복지사에게 문자를 보냈다.

 

‘선생님 모습을 떠올리며 사회복지를 공부했고 제가 가진 장애를 장점으로 생각해 장애인 복지관에 취업하게 됐다. 감사하다’는 내용이었다.

 

또 다른 교육복지사는 자신이 학교 교육복지실에서 돌봤던 B 군을 네트워크 통합사례회의에서 실무자로 만났다.

 

B 군은 중학생 때 복지실에서 활동하고 모교에서 ‘대학생 멘토링’도 진행하며 대학 졸업 후 청소년센터에서 학생들의 교육과 돌봄을 담당하는 일을 시작한 것이다.

 

B 군은 교육복지사에게 “함께 활동했던 다른 친구는 사회복지 NGO 본부에 들어가서 일하기 시작했다”는 소식도 전했다.

 

담당 교육복지사는 “중학생이었던 학생은 지역의 멋진 시민이자 동료가 됐다”며 “교육복지 사업을 통해 관계 속에서 여러 경험을 배운 학생들이 지역의 후배와 다음 세대를 위해 다시 지역사회로 나오고 있다”고 기뻐했다.

 

 

◇ 교육복지, ‘세상의 힘’ 되려면 공감대 얻어야

 

지원청 교육복지 담당자에 따르면 현재도 학교에서는 ‘복지를 실천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학교 내 구성원과 공유하기가 쉽지 않다.

 

학교에서 교사는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수업과 학생지도 등 다양한 업무로 시간적, 정신적 여유를 가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때문에 교사는 복합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 등을 사전에 발굴했을 때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럴 때 아이에 대한 파악과 지원을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교육복지사가 각 학교에 배치되어 있어야 하지만 극소수라 교육복지에 대한 공감대를 얻기가 부족하다.

 

교육복지 담당자는 “학교에서 교육복지를 통해 학생과 학급, 학교 전체가 긍정적인 변화를 겪는 경험을 더 많이 해야 필요성과 효과성을 공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학교에서 지역 기관에 대한 이해도가 낮다 보니 교육복지사가 많아져 중간에서 신뢰를 쌓아주는 것이 필요하다”며 “지역기관도 학교와 마찬가지로 동등한 교육복지의 주체라는 ‘마을교육공동체’ 인식이 자리 잡아야 한다”고 피력했다.

 

 

◇ “교육토대 다져 ‘좋은 고향’ 만들어줄 것”

 

지원청 교육복지 담당자는 학교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생이 교육과정을 유의미하게 받아들여 성장할 수 있는 상태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무리 좋은 교수 방법으로 수업한다고 해도 학생이 가정에서 보호를 받지 못하거나 제대로 된 생활을 유지하지 못하면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그는 아이들이 학교에서 제대로 교육효과를 받을 수 있는 토대를 만드는 역할을 교육복지가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인프라, 교통, 집값 등 현실적 요소가 아닌 유년 시절 만난 사람들과 쌓은 좋은 경험이 긍정적으로 지역을 인식하는 데 토대가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애정을 갖고 지역에서 살아갈 때 더 좋은 방향으로 사회적 현상에 관심을 두고 참여할 수 있다”며 “당장 생활이 어려운 아이가 있으면 마을교육공동체가 힘을 합쳐 도울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때문에 “위기 상황에 대한 선별적인 복지지원, 통합사례지원은 결국 마을공동체와의 배움과 돌봄에 연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고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내 아이 키우기에도 바쁘고 마을의 여러 아이를 함께 키워야 하는 주체라고 인식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사는 마을이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모두가 함께 키운 아이들이 필요하다”며 “나에게도 좋은 고향이었던 부천을 교육복지를 통해 내 아이를 비롯한 모든 아이에게도 좋은 고향으로 느끼게 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 기사는 경기도교육청 협찬으로 진행함. 

 

[ 경기신문 = 이보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