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18 (일)

  • 구름조금동두천 30.6℃
  • 구름조금강릉 31.9℃
  • 구름조금서울 32.0℃
  • 맑음대전 32.2℃
  • 구름많음대구 30.7℃
  • 구름많음울산 29.6℃
  • 구름조금광주 30.6℃
  • 구름많음부산 32.1℃
  • 구름조금고창 31.4℃
  • 구름많음제주 32.2℃
  • 구름조금강화 29.8℃
  • 구름조금보은 29.6℃
  • 구름조금금산 32.1℃
  • 구름조금강진군 32.1℃
  • 구름조금경주시 31.8℃
  • 구름조금거제 30.4℃
기상청 제공

우리나라 1세대 조경가의 예술세계…전시 ‘정영선 :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

국토개발기술사 정영선의 50년 활동과 예술세계 조망
독립기념관, 광화문광장, 서울 올림픽 게임, 예술의전당 등 국가·민간 프로젝트 계획안 전시
9월 22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조경은 땅에 쓰는 한 편의 시가 될 수 있고 깊은 울림을 줄 수 있습니다. 하늘의 무지개를 바라보면 가슴이 뛰듯, 우리가 섬세히 손질하고 쓰다듬고 가꾸는 정원들이 모든 이들에게 영감의 원천이 되고 치유와 회복의 순간이 되길 바랍니다"  조경가 정영선(b.1941~) 

 

조경가 정영선은 시를 사랑하고 시에서 얻은 영감으로 조경을 해왔다. 대한민국 1세대 '조경가'이자 여성 1호 '국토개발기술사'로서 조경이라는 자기만의 방식으로 땅에 시를 써왔다.

 

조경가 정영선의 예술세계를 조명한 전시 ‘정영선 :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1970년대 국토개발과 함께 본격적으로 활동한 그의 50년 역사를 총망라한다. 공원과 수목원, 정원과 리조트까지 작업을 파스텔, 연필, 수채, 청사진, 설계도면, 모형, 사진 등으로 전시한다.

 

우리나라 자연 경관을 있는 그대로 묘사했던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처럼, 정영선의 조경은 자연과 호흡하며 우리 땅의 아름다움을 전한다. ‘조경사는 연결사’라는 그의 말과 같이 사람과 자연경관의 관계, 건축과 도시, 대지의 관계를 해석한다. 그의 작업들은 ‘회복탄력성’과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며 모두가 더불어 사는 전 지구적 메시지를 던진다.

 

 

전시는 어린 시절 조경을 접했던 배경을 소개한 인트로부터 그의 작품 세계를 주제별로 다룬 ‘패러다임의 전환, 지속 가능한 역사 쓰기’, ‘세계화 시대, 한국의 도시 경관’, ‘자연과 예술, 그리고 여가 생활’, ‘정원의 재발견’, ‘조경과 건축의 대화’, ‘하천 풍경과 생태의 회복’, ‘식물, 삶의 토양’ 등 6개의 섹션과 정영선이 미술관 내 조성한 정원 등으로 구성됐다.

 

정영선은 할아버지가 운영하던 과수원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존 옴스비 싸이몬즈의 ‘조경’(1961)을 읽고 조경가의 꿈을 키웠다. 1970년대 초, 한국에 조경학이 처음 소개됐을 때,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의 1호 대학원생이 됐다. 이후 ‘서양조경사’(1979)를 집필하는 동시에 국토개발기술사로써 조경 설계일을 해왔다.

 

첫 번째 섹션 ‘패러다임의 전환, 지속 가능한 역사 쓰기’에선 국가적 상징성이 강조된 장소의 조경을 소개한다. 광복을 기념하는 ‘독립기념관’ 명소화(1994-1996) 계획에선 예의적 공간의 경직성을 완화하기 위해 경관적 볼거리가 가미된 계획안을 볼 수 있다. 또 ‘탑골공원’(2002) 계획안에선 슬럼화돼 가는 문화유적지를 바꾼 노력을 볼 수 있다.

 

이외에도 ‘광화문광장’(2009)에서는 육조거리의 정신을 이어 사람이 중심이 되는 ‘비움의 미’를 적용했고, ‘용산공원’(2012) 공모안에선 잃어버렸던 땅을 회복하고 흔적을 자생적으로 살리는 계획안을 만들었다.

 

 

두 번째 섹션 ‘세계화 시대, 한국의 도시 경관’에서는 서울 아시안 게임, 서울 올림픽 대회, 대전 엑스포 등 국제 행사와 한국의 도시 경관을 위한 사업들을 살펴본다. 세계화 시대, 정영선은 조경설계사무소 서안(1987)을 설립하고 국가 주도 프로젝트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아시아선수촌아파트, 아시아 공원’(1986) 등을 맡아 현대적이면서 한국적인 조경을 선보였다.

 

세 번째 섹션 ‘자연과 예술, 그리고 여가 생활’에선 1980년대 경제성장 이후 보편화 됐던 문화, 여가 생활에 대한 조경을 보여준다. ‘충청북도 자연학습원’(1981), ‘어린이대공원 환경공원’(1998), ‘예술의전당’(1988), ‘국립중앙박물관’(2005) 등 미래 세대의 교육과 문화, 예술을 위한 공간의 조경을 맡음으로써 도약하는 문화 예술 공간을 만들었다.

 

이외에도 ‘정원의 재발견’에선 ‘해동경기권’(2005), ‘현대중공업 영빈관’(2010)등 한국적 정취를 가진 정원을 볼 수 있고 ‘조경과 건축의 대화’에선 ‘제주 오설록’(2012, 2019, 2023), ‘제주특별자치도 경관 및 관리계획’(2009)등 건축가와 도시공학자와의 협업도 볼 수 있다. 또 ‘하천 풍경과 생태의 회복’에선 ‘여의도샛강생태공원’(1977, 2008) 등의 프로젝트도 살펴본다.

 

 

 

대한민국 조경가 정영선의 반세기 활동과 그가 구축한 예술세계를 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9월 22일까지 계속된다.

 

[ 경기신문 = 고륜형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