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5·3민주항쟁을 기억하기 위한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 조성에 인천시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3일 사단법인 인천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는 인천민주화운동센터,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건립추진위원회와 주안영상미디어센터에서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 조성사업 타당성 조사결과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에 근거한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 건립 필요 ▲민주화운동 기념공간 조성사례 검토를 통한 시사점 도출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 조성시설 및 신축부지 선정을 위한 논의 필요 등에 대해 다뤘다.
토론에서는 시의 의지가 기념관 조성의 시작이라는 의견이 모아졌다.
다만 시가 기념관을 조성할 의지가 있는지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남근우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가장 중요한 것은 2020년에서 4년이 지난 다음에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 조성 불씨를 다시 지핀 것이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인천시의 의지”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창수 인하대 초빙교수는 “인천시가 사실상 의지가 없다는 것이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 조성 관련 보고서에 나와있다”며 “보고서가 점차 앞으로 발전해 나아가야 하는데 결론이 4년 전의 결론보다 한 발 더 나가지 않았다”고 걱정했다.
또 박인규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 공동대표는 “오늘 인천시 관계자들이 올 것이라고 생각을 했는데 시 관계자들이 오지 않았다는 것을 통해 기념관 조성에 진정성이 없다고 본다”고 꼬집었다.
이와 함께 ▲보훈가치로써 지역 차원의 민주화운동 역사기억과 정신계승 ▲후속조치로써 인천시 연구용역 후속조치 및 보완 ▲법률적 근거로써 법률과 조례에 근거한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 조성 등에 대해서도 토론이 이어졌다.
이영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연구팀장은 “젊은 세대들, 후속 세대들 그리고 다른 지역과 함께할 수 있는 그러한 고민들도 담자”며 ”가능하면 여기에다가 지역 경제 활성화까지 잡는다면 좀 더 좋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한편 인천5·3민주항쟁은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밑거름이 돼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6·29민주화선언을 이끌어 냈다는 의미가 있다.
[ 경기신문 / 인천 = 이기준 수습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