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임물관리위원회(게임위)가 사후관리 기능을 통합해 사후관리본부를 신설했다. 또 등급 분류 기능의 민간 이양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를 시작한다.
게임위는 지난 6일 사후관리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했다고 밝혔다.
앞서 게임위는 지난해 발표한 '게임산업 중장기계획', 신임 위원장 부임, 핵심 사업방향 '더 다가가는 게임위!, 더 나아진 게임생태계!'에 따라 사후관리 중심기관으로 조직개편(안)을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게임위는 기존에 각 사업본부에 나뉘어 있던 온라인게임물 사후관리 기능과 게임제공업소 사후관리 기능을 모아 신설되는 사후관리본부 아래에 배치했다. 사후관리본부는 오토·핵·대리게임·불법사설서버 등 온라인게임물 사후관리, 확률형아이템 정보공개표시 사후관리와 함께 청소년 게임장, 일반 게임장, PC방과 복합게임장 등 게임제공업소 사후관리를 담당한다.
또 민간 등급 분류 이양을 준비하기 위해 민간 등급 분류기관과 자체 등급 분류사업자, 국제 등급 분류 연합 지원 기능을 한 조직으로 모았다. 민간 등급 분류 조직과의 소통·지원 강화, 등급 분류 업무 효율성을 확대하기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게임위는 해당 업무를 담당하는 등급지원본부를 신설했다. 10개 자체 등급 분류사업자와 민간 등급 분류기관, 국제 등급 분류 연합 등과의 업무 협력과 소통·지원, 등급 분류 기준 정비와 직권 등급 재분류, 아케이드 게임물과 청불 게임물 등급 분류(민간 등급 분류 이양 이후 사행성 게임물에 한정)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기존 '민원교육센터'를 '소통교육센터'로 개편해 신임 위원장의 위원회 운영 핵심가치인 소통 중심으로 대외 활동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서태건 게임위원장은 "지난해에는 위원회가 가야 할 중장기 방향을 제시했다면 올해는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민간 등급 분류 이양을 선제적으로 준비하고 위원회가 명실상부한 '사후관리 중심기관'으로 나아가는데 큰 시발점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이효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