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이 가을철을 맞아 산불 위험을 사전에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나섰다.
26일 소방청은 산행 인구 증가 및 건조한 기후로 산불 위험이 커짐에 따라 '인명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산불 예방·대응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소방청은 건조·강풍 등 기상특보 발령 시 소방 차량을 활용한 순찰과 주민 대상 산불 예방 요령 방송 전파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산불 위기 경보에서 '경계' 단계 이상이 발령되면 드론으로 산림 감시에 나서 위험 신호 조기 발견 및 신속 대응을 추진한다.
전국 산림 근접 마을에 비상 소화 장치함을 1199개 추가 설치해 산불 발생 시 소방차 도착 전 초기 대응이 용이하게 한다는 설명이다. 오는 2026년부터 매년 456개소씩 5년간 총 2280개소를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산불 대응 단계에서는 중앙 119구조본부 특수구조대(산불진화대)와 시도 특수대응단을 위험지역에 전진 배치하기로 했다.
산불이 확산한 후에나 가능했던 기존의 '소방력 동원령'을 예측 단계에서 발령할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됐다. 대형 산불 발생 시 동원할 수 있는 소방차량 수도 200대에서 400대로 2배 확대됐다.
산불 전문 진화차량, 소방헬기 등 진압용 장비 및 인력도 보강될 계획이다. 동시에 지휘관과 신임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산불 대응 역량 강화 교육도 확대된다.
지난 3월 울산·경북·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동시다발적 산불로 산림 10만 4000여 ha가 소실되고 사상자 183명이 발생했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전국 소방 역량을 결집해 대형 산불에 총력 대응하겠다"며 "인명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한 선제 대응으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방승민 수습기자 ]



































































































































































































